[뇌질환으로 걷기 힘들 때, 한방에선?] 치매 인한 보행 장애, 그냥 두면 병 키운다
김상진(70) 씨는 몇 년 전 파킨슨병이 생겼다. 잔걸음 보행과 앞 쏠림 증상이 심했다. 세수할 때마다 자꾸 앞으로 넘어져 세면기에 얼굴이 빠지는 경우가 잦았다. 팔다리는 뻣뻣해 잘 굽혀지지 않을 정도였다. 중풍, 파킨슨병, 치매 등 퇴행성 뇌 질환 환자는 심각한 보행장애를 겪는다. 한의학에서는 보행장애를 방치하면 뇌 기능이 악화해, 보행장애가 더욱 심해지는 악순환이 이어진다고 본다. 감철우 감철우한의원(부산 수영구 수영동) 원장으로부터 퇴행성 뇌 질환 보행장애의 한방치료법에 대해 알아본다.
보행 통한 뇌 자극 충분치 않으면
뇌의 퇴화 진행돼 인지장애 우려
오수혈에 침 놓아 막힌 몸을 열고
한약으로 몸 곳곳에 에너지 보내야
■보행장애 방치하면 뇌 기능 급속 퇴화
중풍(뇌졸중), 파킨슨병, 치매처럼 뇌 기능 장애로 생긴 질환들은 대체로 보행에 문제가 많다. 뇌와 보행은 어떤 연관이 있을까.
감철우 감철우한의원 원장은 "역사적으로 동물과 차별화되는 인간의 뇌 발달은 두 손을 사용한 도구의 이용이 아니라, 두 발로 걸음으로써 시작됐다. 인간만이 완벽하게 직립보행을 한다"며 "걷기 위해선 먼저 두 발로 균형을 잡고 서야 하고, 걸음을 뗄 때마다 수많은 근육과 신경으로 몸의 무게중심을 포착해 미세하게 조절하며 나아가야 한다. 뇌는 이 복잡한 과정들을 아기 때부터 기고, 서고, 걸으면서 배웠고, 일생토록 뇌와 몸의 끊임없는 정보 피드백으로 보행 기능을 유지한다"고 설명했다.
고령자들 가운데 고관절이 부러져 보행장애가 발생한 뒤 치매 같은 인지장애가 쉽게 오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보행을 통한 뇌 자극이 충분하지 않아 뇌의 퇴화가 빠르게 진행됐기 때문이다.
중풍은 응급기 위험을 넘기면 대부분 한 쪽 수족 마비나 균형 실조로 보행장애 후유증이 발생한다. 도파민 결핍으로 뇌와 근육의 신호 전달에 문제가 생기는 파킨슨병은 진행 과정에 따라 서행, 몸의 앞 쏠림, 종종걸음이 나타난다. 치매형 보행장애는 보행 속도가 느려지고, 좁아진 보폭과 걸음 떼기가 늦어지는 모습으로 나타난다.
이렇듯 질환마다 다양한 보행장애가 발생하는데 이를 가볍게 여겨서는 안 된다. 보행장애를 방치하면 뇌 기능이 급속히 퇴화하며, 더 큰 보행장애가 나타나는 악순환의 고리가 시작되기 때문이다.
몸의 무게중심을 뇌가 정확하게 파악하고, 정밀하게 전신 근육을 컨트롤하면서 균형을 잡을 때 안정되고 바른 보행이 이뤄질 수 있다. 바른 보행은 뇌 기능의 강화를 의미할 뿐만 아니라, 뒤틀리고 구부정했던 척추 역시 알맞은 위치를 잡아가고 몸이 바르게 펴진다는 의미다. 이러한 구조 개선은 몸의 정보를 뇌에 더욱 정확하게 전달하게 한다.
![]() |
감철우 감철우한의원 원장이 환자의 보행장애를 치료하고 있다. 감철우한의원 제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