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소선박·항만 기술 개발 부산 기간산업 미래 여는 길"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부산의 기간 산업 미래를 위해 수소 응용 기술 개발을 적극 추진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지난달 30일 부산대 교무회의실에서 열린 부산시의 '수소선박 추진단' 전략회의 모습. 부산대 제공

"부산의 기간 산업 미래를 생각하면 선택의 여지가 없습니다. 미래 에너지로 꼽히는 수소를 조선과 항만에 도입해 발전 시설로 연결하는 융복합 기술 개발에 지금 나서야 합니다."

조선과 해운, 그리고 최근 자동차까지 부산 경제의 버팀목이었던 산업 기반이 흔들리고 있다. 송양호 부산시 산업통상국장은 5년 뒤를 가늠하기 힘들다고 했다.

27개 기관·단체·업체 참여
市 '수소선박 추진단' 발족
기획 보고서 타당성 인정 때
3000억 규모 사업 진행

"조선·항만 발전 LNG 대체
미세먼지·오염물질도 줄여"

송 국장은 지난달 30일 부산대 교무회의실에서 열린 부산시 '수소선박 추진단' 발족식 직후 열린 1차 전략회의에서 수소 응용 기술 개발의 절박함을 이렇게 표현했다.

수소선박 추진단은 지난해 연말 국회에서 '친환경 스마트선박 연구개발(R&D) 플랫폼 구축' 기획연구 예산 2억 원이 배정돼 이날 첫 발을 내디뎠다. 오는 6월까지 사업 기획 보고서를 산업통상자원부에 제출해 타당성이 인정되면 내년부터 2025년까지 3000억 원 규모의 플랫폼 구축 사업이 진행된다.

김기영 부산시 경제부시장이 단장을 맡은 추진단은 27개 기관·단체·업체가 모였다. 국내 조선 대기업 3사를 비롯해 연구기관, 조선기자재 업체, 대학 등 산·학·연·관을 아우른다.

추진단 이름에는 '선박'을 내세웠지만 2050년대 이후 액화천연가스(LNG)를 이어 주류 에너지로 등장할 수소의 파급력 만큼이나 사업 범위가 넓다. 기술기획 총괄 책임을 맡은 부산대 조선해양공학과 이제명 교수는 2023년까지 1단계로 액화수소 저장·운송, 극저온 구조 설계, 연료전지, 에너지 저장장치(ESS) 등 선박용 수소 운용 기술 확보와 R&D인프라 구축을 진행한 뒤 2단계로 2025년까지 연료전지 발전소, 육상 선박 전기 공급시설(AMP), 액화수소 벙커링 등 첨단 친환경 항만 인프라에 적용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미세먼지와 황·질소 산화물을 배출하지 않고 효율도 좋은 수소가 선박과 항만 발전설비, 나아가 화석연료 발전소를 대체하는 것은 대세일 수밖에 없다고 에너지 업계는 내다보고 있다. 국내에서 수소 자동차가 상용화를 눈앞에 뒀지만 이미 일본은 수소운반선 운항 등 2020년 완성을 목표로 국제 수소 공급망 구축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한국선급 노길태 책임연구원은 "국내 기술 개발이 더 늦어지면 따라잡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전략회의에서 조선·기자재업체들은 LNG가 대세인 현실에서 수소 기술 개발을 병행하는 데 대한 부담이 없지 않지만 중·장기 전망을 보고 개발 단계에서부터 연구 기관과 함께 원천기술 개발에 참여할 필요성이 있다고 입을 모았다. 김기영 부시장은 "R&D 위험 부담은 정부와 부산시가 상당 부분 안겠다"며 "단순 실증이 아니라 산업화와 시장 수요 창출을 처음부터 염두에 두고 기업들이 사업에 동참해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김 부시장은 "조선기자재 업체들의 미래 먹거리와 친환경 항만을 연결시키는 복합적 산업 생태계 조성으로 우리나라 조선과 부산 기자재 업계, 부산 항만이 동반 성장할 수 있는 길을 열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호진 기자 jiny@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