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부산 공공케어 보고서] 부산, 병원 많은데 건강 성적은 F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2016년 기준 7대 도시(74개 시·군·구)의 암 사망률(연령 표준화)을 비교하면 서울과 부산의 건강 격차가 확연하게 드러난다. 10분위로 나눴을 때, 파란색이 진할수록 사망률이 높음을, 빨간색이 진할수록 사망률이 낮음을 나타낸다.

고혈압 사망률 1위. 암·심장병 사망률 2위. 연령대 분포가 똑같다는 가정(연령 표준화) 아래 전국 7대 도시와 비교한 부산의 낯부끄러운 건강 성적표다. 전체 사망률(연령 표준화·2016년 기준)도 여전히 울산과 1·2위를 다투고 있다. 암·심장병 등 주요 질환 사망률은 16개 구·군 전역이 상위권이고, 원도심 4개 구는 최상위 10%에 꼽힐 만큼 '아프다'. 최근에는 부산 산모·태아의 건강 수준이 최악인 것으로 드러나(본보 지난 8일 자 1·3면 보도) 충격을 안겼다.

병원이 부족해서일까. 아니다. 부산의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은 396개로 인구가 배 이상 많은 서울(496개)과 비교해도 넉넉하다.

주요질환 사망률 전국 최상위
지역별 '의료망 불균형' 심각
1차 안전망 '공공의료'도 허약


병원은 많은데 건강은 나쁜 '역설'. 부산의 의료체계가 시민들의 병을 제대로 고치고 있는지 의구심이 드는 이유다. 양적인 풍요와 달리 의료 접근성(기준 시간 내 의료 이용률)은 전반적으로 열악하다. 암(180분)의 경우 부산에서 가장 양호한 영도구(90.75%)가 서울 최하위인 관악구(98.07%)보다 한참 밑이다. 응급실(30분)과 권역응급의료센터(90분) 접근성 역시 6~7위로 밑바닥인 데다 지역 편차도 크다. 의료망의 쏠림과 불균형이 심각하다는 증거다.

전문가들은 부산이 더 많이 아픈 원인 중 하나로 '허약한 공공의료망'에 주목한다. 정부 공공의료기관 통계(2016년 병원 수 기준)를 보면 부산의 공공의료 비중은 2.5%로, 전국 평균(5.8%)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꼴찌권이다.

공공의료망은 시민 건강과 밀접하게 맞닿아 있다. 응급진료, 감염병 관리 등 필수 의료서비스부터 노숙인·이주민 등 취약계층 돌봄까지. 본보는 심층기획을 통해 시민 건강과 밀접한 공공의료망 등 '공공케어'에 어떤 문제가 있는지 '증상'을 살펴보고, 바람직한 '처방'을 제시하려 한다.
사회복지연대 박민성 사무처장은 "공공의료망은 지역·계층·분야에 상관없이 누구나 아프면 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건강 기본권'을 보장하는 가장 일차적인 안전망인 만큼 지역 공공의료망이 제대로 작동하는지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고 말했다.

이대진 기자 djrhee@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

    실시간 핫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