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등어 이어 갈치도 씨 말린다
 14일 오전 부산 서구 공동어시장에서 인부들이 이날 들어 온 풀치(새끼 갈치). 황석하 기자
14일 오전 부산 서구 공동어시장에서 인부들이 이날 들어 온 풀치(새끼 갈치). 황석하 기자한동안 새끼 고등어를 대량 잡아들여 "씨를 말린다"는 호된 비판을 받아 온 대형선망 선사들이 이번에는 풀치(새끼 갈치)까지 대거 잡아 와 또 다시 여론의 도마에 올랐다. 한일어업협정은 타결될 기미가 보이지 않고, 경영난에 빠진 선사들이 마구잡이로 치어를 포획하는 악순환에서 벗어나지 못하자 정부의 무능함을 질타하는 여론도 비등하고 있다.
14일 오전 부산 서구 공동어시장 위판장에는 한 눈에 봐도 크기가 작은 풀치들이 쏟아졌다. 크고 굵은 갈치는 몇 상자 안됐지만, 풀치를 담은 상자는 모두 두 겹으로 쌓인 상태에서 상자 밖으로 풀치가 넘쳐날 정도였다. 이날 공동어시장에는 대형선망과 저인망 어선이 입항해 갈치 4만 2956상자(상자 당 18㎏) 분량을 풀어놨는데, 이중 풀치는 3만 5075상자로 무려 81.6%를 차지했다.
14일 공동어시장 풀린 갈치  
82%가 18㎝ 겨우 넘긴 풀치 
"이런 걸 잡아오나"선사 성토  
정부 무능 비판 목소리 고조
갈치의 몸길이는 머리에서부터 몸 1/3 지점에 위치한 항문까지 측정하며, 금지체장은 18㎝다. 태어난 지 2년 6개월이 지난 갈치 성숙어는 항문장 22㎝가 넘고, 3년차에는 30㎝까지 자란다. 한국수산자원관리공단 조사에 따르면 이번에 공동어시장에 들어 온 풀치는 금지체장 18㎝를 겨우 넘긴 것이 대부분이었다. 갈치 금지체장이 있으나마나 한 규정임을 보여주고 있는 셈이다.
|  | 
| 풀치와 대형 갈치 비교 사진. 황석하 기자 | 
|  | 
| 14일 오전 부산 서구 공동어시장에서 인부들이 이날 들어 온 풀치(새끼 갈치)를 정리하고 있는 모습. 황석하 기자 | 
이에 대해 대형선망 업계는 한일어업협정 난항 탓에 바다가 좁아지면서 경영난에 봉착했고 줄도산을 피하기 위해서는 풀치라도 잡아와야 한다는 입장이다. 대형선망수협 관계자는 "지금 조업할 곳은 제주 인근 해역밖에 없어 모든 어선이 그곳에 몰려 있다. 어업협정을 빨리 마무리해 일본의 배타적경제수역(EEZ) 내에서도 조업을 할 수 있어야 숨통이 트인다"고 하소연 했다.  
|  | 
| 14일 오전 부산 서구 공동어시장에서 인부들이 이날 들어 온 풀치(새끼 갈치)를 정리하고 있는 모습. 황석하 기자 | 
황석하 기자 hsh03@busa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