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미~ 영미~"… 우리 곁에 다가온 로봇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국내 8개 기관이 공동으로 개발한 컬링로봇.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로봇'의 진화 속도가 빨라지고 있다. 로봇산업이 4차 산업혁명을 이끌 핵심 분야로 급부상하면서 정보통신기술 업계의 발걸음이 바빠진 영향이다. 로봇은 1인당 1대 이상을 사용하는 스마트폰처럼 청소용, 요리용, 애완용 등의 제품화를 통해 스마트폰을 대신하는 미래 산업으로 성장할 가능성이 크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IDC(International Data Corporation)에 따르면 전 세계 로봇시장 규모는 2020년 1880억 달러(약 200조 원)에 달할 전망이다.

고려대 등 8개 기관 개발
인공지능 컬링로봇 '컬리'
인간과 첫 대결 '화제'

생산기술연구원 '에버'
대구오페라하우스서 공연

삼성·LG전자 등 업체도
생활형 로봇 상용화 '속도'

특히 다양한 분야에서 로봇이 등장하는 장면이 최근 들어 눈에 띄게 많아졌다. 지난 8일 경기도 이천시 대한장애인체육회 이천훈련원 컬링센터에 나타난 인공지능(AI) 컬링로봇 '컬리(Curly)'가 대표적이다. 컬리는 지난해 4월부터 고려대, 울산과학기술원(UNIST), 로봇기업 엔티(NT) 등 국내 8개 기관 연구자 60여 명이 공동 개발했다. 키 2.2m, 무게 86㎏에 바퀴 3개로 이동하는데 이날 춘천기계공고 컬링팀을 상대로 인간과 첫 대결을 펼쳤다.

원래 컬리팀은 투구 전략을 짜는 AI 컬링 소프트웨어(컬브레인)와 스킵로봇, 투구로봇, 빙판을 문지르는 스위핑로봇으로 구성되는데 스위핑로봇은 아직 개발 단계라 이날 경기에는 스킵로봇과 투구로봇 2대만 참가했다. 2엔드 약식으로 진행한 대결에선 컬리가 0 대 3으로 패했는데 스톤 위치를 파악하고 전략을 세우는 복잡한 경기에서 첨단기술을 탑재한 로봇의 가능성을 보여줬다는 평가가 많았다. 연구진은 향후 컬링로봇의 범용성을 확보해 자율 생산 로봇, 무인 이송 서비스 등으로 발전시킬 계획이다.

이달 초 대구 오페라하우스에서 공연을 마친 로봇디바 '에버'도 로봇 활용을 높이는 사례로 주목받았다.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이 만든 여성형 로봇 에버는 키 168㎝, 길고 검은 머리카락에 갸름한 얼굴을 했다. 에버는 오페라 무대에서 녹음된 노래를 부르는데 근육 제어 알고리즘을 통해 기쁨, 슬픔, 놀람 등 열두 가지 표정을 보여주며 기술력을 입증했다. 홍채 인식 기능이 뛰어나 사람처럼 상대와 눈을 맞출 수도 있다고 한다.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이 개발한 휴머노이드 로봇 에버 모습.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삼성전자와 LG전자도 로봇 상용화에 적극적인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삼성전자는 올해 초 무선사업부 산하에 '로봇 하드웨어' 부서를 신설했다. 삼성전자는 로봇에 인공지능, IoT, 위치기반 등 핵심 기술 대부분이 적용될 것으로 보인다. 삼성전자는 이미 AI 공업용 로봇 팔인 'SARAM(사람)'을 개발해 상표 등록을 마친 것으로 알려졌다. '사람'은 공장에서 인력을 대신해 무거운 물건을 들거나 이동하는 데 주로 사용될 것으로 예상한다.

LG전자는 H&A사업본부가 주도로 로봇 사업을 펼치고 있다. 이미 LG전자는 자율주행과 사물인터넷 기술을 담은 안내로봇을 개발해 대형쇼핑몰 등의 매장에 공급한 바 있다. 안내로봇은 안내와 사진촬영, 건물관리 등에 사용된다. 여기에는 위치 인식, 장애물 인식 등 자율 주행 기술을 비롯해 제어 기술, 사물인터넷 등 자체 개발한 핵심역량이 녹아있다. LG전자는 안내로봇 외에도 청소로봇, 잔디깎이로봇, 허브로봇 등 공공장소나 주택에서 편의성을 높이는 로봇들로 시장을 적극적으로 공략한다는 계획이다. LG전자는 특히 로봇을 생활가전에 융합하는 것에 공을 들이는 모습이다 .

국내 이동통신 3사도 AI 솔루션을 적용한 로봇을 다양한 분야에서 선보이고 있다. SK텔레콤의 교육용 로봇 '알버트'가 대표 사례다. 2012년 출시된 알버트는 근접인식센서·내비게이션·스마트펜·광학인식센서 등이 탑재됐다. 모든 연령을 대상으로 유아용 가정교육이 가능한 로봇인데 올해 초 파라과이와 1만 대 수출 계약도 맺었다. KT는 GS리테일과 손잡고 전국 1만 2000곳의 편의점에 AI 헬프데스크 'GS25 챗봇지니' 서비스를 시작했다. LG유플러스는 자연어 인식이 가능한 대화형 채팅로봇(챗봇) 'U봇'을 도입해 활용 중이다. IT업계 관계자는 "다가오는 5G 시대에 로봇의 활용성이 더욱 커질 것이라는 점에서 당분간 로봇 시장 선점을 위한 경쟁이 치열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민지형 기자 oasis@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