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 '평창 외교전' 1막 내리고, 2막 패럴림픽 준비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내달 중 대북 특사 파견 가능성

평창동계올림픽 폐막과 함께 문재인 대통령의 평창 외교전도 '1막'을 마쳤다.

문 대통령은 북한의 핵·미사일 도발로 북·미 간 충돌 우려가 가속화된 지난해부터 이번 평창 무대에서 북핵 해결의 실마리를 잡겠다는 의지를 내보였고, 실제 북한과 미국 대표단을 비롯해 평창을 찾은 각국 정상을 상대로 치열한 북핵 외교를 펼쳤다.

문 대통령의 이런 노력은 외형적으로 적잖은 성과를 거둔 게 사실이다. 한반도 긴장지수는 북한의 평창올림픽 참가로 표면적으로는 상당히 낮아졌다. 여기에 우리 정부의 적극적인 중재로 얼어붙은 북·미 간 대화 가능성도 조금씩 확장되는 모양새다. 반대로 북한의 이번 평창 참여 과정에서 대북 제재 일부가 허물어지면서 한·미 공조에 균열이 생긴 듯한 모습, 여기에 '천안함 폭침'의 주범으로 인식되는 김영철 북한 노동당 통일전선부장의 방남을 허용하면서 국내 여론이 크게 분열된 점 등은 문 대통령의 대북 정책 추진 과정에서 상당한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그럼에도 한반도 문제의 평화적 해결을 위한 단초가 마련됐다는 점에서 문 대통령은 평창 외교는 3월 동계 패럴림픽을 통해 다시 한번 가속 페달을 밟을 전망이다. 특히 패럴림픽 이후 한·미연합군사훈련의 재개와 북한의 맞대응 도발로 한반도 위기 지수가 재차 고조되는 상황을 차단하기 위해 3월 중 대북 특사 파견을 통해 북한의 비핵화와 관련한 입장 변화와 이를 통한 북·미 대화를 견인하려는 시도를 할 것으로 예상된다. 전창훈 기자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