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정엽 기자 "악성댓글·욕설 쏟아진다"며 조선비즈에 '셀프 기사' 작성
조선비즈 박정엽 기자가 신년기자회견서 악플을 호소하는 것에 더해 관련 내용을 기사로 작성해 화제를 모으고 있다.
10일 박 기자는 "문대통령에 '과격댓글' 질문 박정엽기자에게 쏟아진 건…"이라는 제목의 기사를 내보냈다. 앞서 박정엽 기자는 이날 오전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신년 기자회견에서 문 대통령에게 "기자들이 대통령이나 정부 정책에 대해 비판적인 기사를 쓰면 안 좋은 댓글들이 달리는 경우가 많다. 지지자분들께서 보내시는 격한 표현이 많다"고 호소했다.
박 기자는 문 대통령이 영화 '1987'을 관람한 것을 두고 지난 7일 '정치색 짙은 영화 일람한 문대통령'이라는 제목의 기사를 내보냈다가 여론의 뭇매를 맞은 바 있다.
박 기자는 "대통령께서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또 지지자들께 어떻게 표현을 했으면 좋겠다고 전하실 말씀이 있으신지 궁금하다"고 질문하며 "그래야 좀 편하게 기사를 쓸 수 있을 것 같아서"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아마 언론인들께서는 기사에 대해서 독자들의 의견을 과거부터 받으실텐데, 지금처럼 활발하게 많은 댓글을 받는 것이 익숙하지 않은지 모르겠다"며 "그러나 정치하는 사람들은 정치하는 기간 내내 언론의 비판들 뿐만 아니라 인터넷, 문자, 댓글 등을 통해 많은 공격과 비판을 받아왔다. 그런 부분들에 대해 익숙해있다"고 답했다.
이어 "저는 아마 대한민국에서 저보다 많은 악플이나 문자를 통한 비난을 받은 정치인이 없을 것이라 생각하는데, 생각이 같든 다르든 유권자인 국민들의 의사표시라고 받아들인다"면서 "기자분들께서도 담담하게 생각하면 되지 않나 싶다. 너무 예민하실 필요는 없지 않나 생각한다"고 답변했다.
이후 박 기자는 기사를 통해 "청와대를 출입하는 기자들은 문 대통령에 대한 비판적인 기사를 쓰는 게 두렵다고 한다. 비판적 기사를 쓴 뒤 아예 댓글을 읽지 않는 기자들도 있다"며 "문 대통령에 대한 기사가 비판적일 경우 기사에 따라오는 댓글이 욕설로 뒤덮이고 과격한 경우가 태반이기 때문이다. 대부분 문 대통령 강성 지지자들이 쓴 댓글이다"고 밝혔다.
박 기자는 "문 대통령이 지지자들을 달래줄 수 있을 것이란 기대속에 이런 질문을 던졌다"며 "많은 이들이 과격한 지지자들의 악성 댓글은 문 대통령이 강조하는 소통과 자유 토론을 막는 방해물일뿐이라고 생각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박 기자는 "문 대통령과 기자의 문답이 오간 이후 몇 분 지나지 않아 기자에게는 욕설 섞인 이메일과 SNS 메시지 수백통, 포털 사이트에 올라간 기사 댓글 수천건 등이 빗발치기 시작했다"며 "그리고 기자는 이 짧은 기사를 쓰는 동안 주요 단어마다 수십번씩 썼다 지우면서 망설였다. 이후에 쏟아질 악성 댓글을 걱정하지 않을 수 없었기 때문이다"고 기사를 마무리했다.
이를 본 일부 누리꾼들은 "일기는 일기장에 써라"며 비판을 이어가고 있다.
조경건 부산닷컴 기자 pressjk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