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운-조선 상생 실질 지원책 서둘러야"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수주 절벽에 신음하는 조선업계, 한진해운 파산 이후 고전하는 해운업계. 해양수산부와 부산시가 상생협의체를 만들어 해운·조선업 불황 탈출을 모색하고 있으나 업계에서 체감할 수 있는 대책은 여전히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사실상 오는 7월 출범하는 해양진흥공사가 종합 지원책을 내놓기 전에는 별다른 대책이 없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제기되고 있다.

7일 해운업계에 따르면 세계 최대 철광석 업체인 브라질 '발레'사가 지난해 11월 40척의 초대형 광석 운반선 용선 계약을 체결했다. 용선 수주전에서는 국내 해운업체가 27척을 따내 13척에 그친 중국을 크게 앞섰다. 그러나 이들 업체가 신조를 맡긴 조선업체는 중국이 21척으로 한국을 앞섰다. 국내 해운업체 가운데 팬오션과 SK해운이 각각 6척과 2척의 운반선을 중국 조선사에 맡겼기 때문이다.

용선 수주전 27:13 中 압도
국내 뱃값 10% 높은 탓에
신조는 中에 19:21로 뒤져
"정부 윈윈 지원책 내놔야"


해운·조선업 선순환 구조 강화를 외치며 해양수산부가 선주협회, 조선해양플랜트협회와 함께 이미 2016년 7월 상생협의체를 만들었으나 업계의 움직임은 달랐던 것이다.

해운업계 관계자는 "국내 조선소 신조 시장 뱃값이 중국에 비해 10% 가량 높게 형성돼 경쟁입찰 환경에서 어쩔 수 없이 중국을 선택한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실제 팬오션이 공시한 중국 업체의 운반선 6척 신조 가격은 1척당 평균 805억 원이었다. 반면 대한해운이 현대중공업에서 2척을 신조하는 데 들인 돈은 1척당 평균 924억 원으로 중국업체에 비해 10% 이상 비쌌다. 대한해운은 선박 건조계약 체결 이후 "수주 가뭄을 겪는 국내 조선업 지원을 위한 결정이자 해운업과의 상생 발전을 위한 투자"라고 홍보했다.

지난해 연말 '조선·해운·금융 상생협의회'를 만든 부산시는 국내 신조 시장이 활성화돼야 지역 기자재업계의 숨통을 틔울 수 있다며 기자재업계 대표들과 함께 국내 해운업체들을 순회 방문하는 계획을 세웠다가 이런 소식에 허탈한 표정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그럼에도 해수부가 현실적으로 해운·조선 상생을 위해 현재 투입할 수 있는 재원은 친환경 선박을 새로 지을 때 뱃값의 10%를 지원하는 보조금 정도밖에 없다. 올해 예산이 겨우 43억 원이다. 업계 관계자는 "해운·조선 상생 이야기는 많이 나오는데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만한 시책은 아직 없는 것 같다"고 말했다.

해수부 관계자는 "한국해양진흥공사가 7월 설립되면 그동안 부족했던 금융 지원 프로그램이 다양하게 시행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결국 해양진흥공사 설립 이후 올 하반기나 돼야 업계가 체감할 대책이 나올 수 있다는 얘기다.

조선기자재업계 한 관계자는 "상반기 중 대형 수주전이 또 벌어졌을 때 중국으로 넘어가는 신조 물량을 지켜볼 수밖에 없는 상황이 벌어지지 않을지 걱정"이라며 "공사 출범 전이라도 정부가 적극적인 재정·정책 지원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호진 기자 jiny@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

    실시간 핫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