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택을 찾아서] 1. 송소고택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처마에 걸린 겨울 햇살, 대청마루에 스민 한적함이여

송소고택 큰 사랑채 대청 뒤에서 정원 쪽을 향해 바라본 모습. 길게 옆으로 늘어선 대문채와 앞산의 모습이 한 폭 그림처럼 들어와 앉는다.

고택은 단지 오래된 집이란 의미 그 이상을 내포한다. 수백 년 한자리를 꿋꿋이 지켜 온 고택은 한국 전통가옥의 원형질을 보여 줄 뿐만 아니라 그 속에 살다 간 사람들의 이야기를 알알이 품고 있다. 건축학적·역사적으로 보존 가치가 충분한 게 고택이다. 근자에는 숙박시설로

조선 후기 상류층 주택의 전형
전국 3대 '99칸 고택' 중 하나
국가민속문화재 제250호 지정

뜨끈뜨끈한 군불 사랑채 하룻밤
어릴 적 고향집 겨울밤 떠올라

경북 청송군 파천면 덕천마을에 있는 송소(松韶)고택은 국가민속문화재 제250호다. 조선 시대에 사가(私家)가 지을 수 있는 최대 규모인 99칸의 위용을 자랑한다. 보은의 선병국가옥, 강릉 선교장과 더불어 전국 3대 '99칸 고택'으로 꼽힌다. 조선 영조 때 만석꾼이었던 청송 심씨 심처대의 7대손인 송소 심호택이 파천면 지경리(호박골)에서 조상의 본거지인 덕천동으로 옮기면서 지었다고 한다.

■집안 내력

송소고택을 찾은 날은 최강 한파가 몰려온 날이었다. 청송의 다른 여행지 취재에 정신이 팔린 나머지 날이 어둑해져서야 고택에 도착했다. 하필 평일인 데다 비수기여서 넓은 마당은 인적이 뚝 끊기고 어둠과 적막이 자리를 차지하고 있었다. 차가운 북풍이 귓불을 베어 낼 듯 매서웠다. 캄캄한 마당을 이리저리 헤매고 있는데, 주인장 심재오(62) 선생으로부터 전화가 왔다. 읍내 상가(喪家)에 갔다 오는 길인데, 3분 이내에 도착한다는 전갈이었다.

사람 좋아 보이는 심 선생이 곧 도착했다. 곧장 큰 사랑채 공부방으로 안내했다. 문을 여는 순간 온기가 훅 몰려들어 추위가 단박에 달아났다. 숙박을 예약했더니 군불을 잔뜩 때 놓은 모양이다. 두어 평 자그마한 방이지만, 벽에는 대나무와 부채 그림의 액자가 마주 보며 걸려 있고 LED 등은 한지 덮개로 장식돼 운치가 그만이었다. 바닥은 정성껏 옻칠해 반들반들 윤이 나고 아랫목은 시커멓게 변색해 있었다. 어릴 적 고향 집의 겨울밤 풍경이 스쳐 갔다.

"뭐 취재할 게 있다고 이 먼 길을 오셨어요?"

송소고택 주인장 심재오·최윤희 씨 부부가 큰 사랑채 대청에 앉아 자세를 취했다.
심 선생은 마주 앉자마자 집안 내력을 조곤조곤 설명했다. 심 선생은 송소고택을 세운 송소 심호택(1862~1930)의 증손자로, 청송 심씨 가문의 11대 주손(胄孫)이다. 이곳에서 태어나 다섯 살 때부터 서울에서 생활한 선생은 2010년 9월 부인 최윤희(59) 여사와 함께 낙향했다. 50년간 서울 생활을 마감하고 고향으로 돌아온 이유는 뭘까?

"1979년부터 2003년까지 집을 비워 뒀더니 엉망이 됐어요. 수십 차례 도둑이 들어 심지어 문까지 떼 갔습니다. 7년 동안 다른 사람에게 관리를 맡겼지만, 달라진 게 없었어요. 할 수 없이 집을 지켜야겠다는 생각에 내려오게 됐지요."

선생은 부인과 함께 집 안 구석구석을 새로 정비하고 화단을 가꾸며 숙박 손님과 방문객을 맞이하는 등 눈코 뜰 새 없이 바쁜 나날을 보내고 있다고 했다. 이 덕분에 송소고택은 옛 모습을 되찾으며 한 해 관광객 10만 명이 찾는 명소가 됐다. 더욱이 2011년 대한민국 관광 부문 최고상인 '한국관광의 별'로 지정되기도 했다.

두어 시간 선생의 이야기를 듣고 있자니 몸이 풀리면서 눈꺼풀이 무거워졌다. 눈치를 챈 선생이 "그만 주무시라"며 자리를 떴다.

■99칸의 위용
송소고택 99칸의 위용이 한눈에 들어온다.
눈을 뜨니 아직 어둑새벽이었다. 밤새 억누른 궁금증을 빨리 해소하고 싶어 밖으로 나갔다. 알싸한 추위 속 9000여㎡의 대지 위에 건물 10채가 우뚝했다. 하지만 규모와 비교해 그렇게 위압적이지 않고 고향 집처럼 푸근하게 느껴지는 게 참 신기했다. 나중에 알고 보니 화려함 속에서 소박함을 추구한 송소의 삶이 잘 구현됐기 때문이었다. 날이 밝자 최인서 청송군 문화해설사의 도움을 받아 꼼꼼히 훑어갔다.

1880년께 지어진 이 집은 조선 후기 상류층 주택의 전형적인 모습을 보여 준다. 대원군 때 경복궁을 중건했던 도편수 2명이 내려와 건축을 주도했다고 한다. 목재는 대부분 주왕산과 태백산 자락의 금강송을 사용했다. 
솟을대문에 붙어 있는 松韶古莊(송소고장) 현판.
송소고장(松韶古莊) 현판이 걸린 솟을대문을 들어서면 눈앞에 펼쳐지는 사랑채. 전면을 향했을 때, 오른쪽에 큰 사랑채 왼쪽에 작은 사랑채를 배치했다. 큰 사랑채는 막돌과 긴 돌을 툭툭 다듬어 3단의 축대를 쌓고 집을 세웠다. 팔작지붕이 하늘로 날아오를 듯 가뿐하다. 정면 5칸, 측면 2칸. 작은 사랑채는 정면 5칸, 측면 1칸으로 맞배지붕을 올렸다. 작은 사랑채는 큰 사랑채보다 한두 발짝 뒤로 물러앉았는데, 이는 유교 질서를 구현한 설계다. 송소고택은 전체적으로 'ㅁ자' 형으로 영남지방 특유의 양반 가옥 형태를 취하고 있다.

작은 사랑채 옆으로 난 문을 통과하면 안채가 나온다. 정면 6.5칸, 측면 2.5칸으로, 대청을 중심으로 왼쪽은 안방과 부엌이 차례로 놓여 있고 오른쪽엔 건넌방이 배치돼 있다. 후벽에는 뒤란으로 통하는 바라지창을 달아 계절과 시간에 따라 햇살이 들어오도록 배려했다.

안채 오른편에 있는 별채는 별도 공간을 구획해 배치했다. 장성한 여식이 결혼 전까지 기거하며 예의범절을 배우는 공간이다. 정면 4칸, 측면 2칸인 별채는 높은 기단 위에 'ㄱ자'형 누마루를 갖춘 기품 있는 건물이다.

이 집 전체의 방 개수는 2~10인실 14개. 이 중 안방과 사무실을 제외한 12개를 일반에 개방한다. 6개는 온돌방, 6개는 전기보일러 방. 송소고택은 99칸이지만, 방이 14개인 것은 방과 칸의 개념이 달라서다. 칸은 건물 규모와 관련이 있다. 집의 기초가 되는 기둥과 기둥 사이가 칸이다. 방과는 다른 개념이다. 통상 방보다 칸이 많다. 정면 4칸, 측면 2칸 집은 '4×2=8'로 8칸으로 친다. 그래서 99칸이라고 해서 방이 99개는 아니다.
 
■예와 멋

송소고택은 건물의 위용도 위용이지만, 전통적 예와 멋을 잘 구현했다는 점이 두드러진다. '헛담'과 '구멍담'이 대표적인 예. 활짝 열린 대문을 들어서면 눈앞을 막아서는 담이 있다. 'ㄱ자'를 아래위로 뒤집어 놓은 형태의 헛담이다. 집 밖에서 보았을 때 여인네들이 기거하는 안채 움직임을 자유롭게 만들어주려는 배려의 소산이다. 헛담을 기준으로 여인네들은 오른쪽으로, 남정네들은 왼쪽으로 돌아 각각 안채와 사랑채로 들어가게 되므로 남녀유별의 '내외담' 기능도 했다.

'구멍담'에는 안채 쪽에서 사랑채를 볼 수 있는 구멍이 3개 나 있다.
사랑채 쪽에서 보면 6개의 구멍이 나 있지만, 안채를 볼 순 없다.
안채 뒤를 돌아 여자들이 머물던 안사랑 쪽에 가면 구멍담이 나온다. 담장 안쪽에는 분명 구멍 3개가 나 있는데, 사랑채 쪽 바깥에서 보면 구멍이 6개다. 망원경 원리를 역이용한 셈인데, 사랑채에 손님이 몇 분이나 왔는지 관찰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다.

굴뚝이 어른 키보다 낮게 설치된 것도 이채롭다. 이것은 여름에는 낮게 깔린 연기로 모기를 쫓는 기능을 하지만, 높게 연기를 날려 보내지 않음으로써 배고픈 서민들에게 위화감을 조성하지 않으려는 양반가의 겸양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또 하나 주목할 곳은 건물과 건물 사이 문턱이 넓은 U자형이라는 점. 이는 치마를 입은 여인네들이 치맛자락을 걷어 올리지 않고도 문턱을 넘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큰 사랑채 대청에는 우송서옥(又松書屋)이라는 당호 액자가 걸려 있다. '우송이라는 사람이 책을 읽는 집'이란 뜻. 우리나라 근대 대표적인 문인화가이자 서예가인 석재 서병오 선생의 글씨다.

이처럼 송소고택에는 문화의 향기가 곳곳에 서려 있다. 요즘 뒷마당과 후원에서 해마다 8차례의 작은 음악회가 열리는 것도 결코 우연이 아닌 셈이다. 심재오 선생은 마지막으로 기자에게 한마디 했다. "사명감 하나로 집을 지키고 있지만, 매달 고정비만 800만 원이 들어가는 등 유지·보수에 어려움이 큽니다. 한때 매달 80만 원 나오던 정부의 고택 지원금이 그나마 올해부터는 없어져 버렸어요. 정부의 문화재 정책이 대통령 바뀔 때마다 돌변하니 안타깝습니다."

묵묵히 오랜 세월을 건너온 고택은 희로애락의 숱한 비밀을 건네 왔을 터이지만, 눈멀고 귀먹은 여행객에겐 마이동풍이나 아니었는지, 걱정이 앞선다.

글·사진=윤현주 선임기자

hohoy@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

    실시간 핫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