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뜨거운 감자' 신공항 논의, 예의 주시한다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가덕신공항'이 재점화할 조짐이다. 내년 6월 지방선거를 앞두고 정치권에서 벌써 선거 쟁점화하는 모양새가 완연하다. 지난 정부에서 결정 난 '김해신공항'에 대해 십분 만족하지 못하는 부산 시민의 정서에 다시 불을 지필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파괴력이 만만치 않을 것은 분명하다. 하지만 여론의 핵폭탄급 분열만 초래해서는 지역의 미래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가덕신공항 논의는 신중에 신중을 기해야 마땅하다.

먼저 우려되는 것은 이른바 '뗏목론'이다. 강을 건너는 데 뗏목이 필요하지만 건넌 후에는 뗏목을 버려야 한다는 말은 일견 타당하다. 문제는 신공항에 관한 한 부산의 10년 공든 탑을 지난 두 정권에 걸쳐 간단하게 공수표로 만들어 버렸다는 점이다. 선거에서 최대한 활용하고는 선거가 끝나면 신공항을 주저 없이 발로 걷어찬 게 정치권이다. 이번에도 힘 있다는 여당을 중심으로 가덕신공항 논의가 재점화하는 것은 앞선 정권들의 전철을 되풀이하는 것 아니냐는 의구심을 불러일으키기에 충분하다.

우선 던져 놓고 본다는 식의 신공항 논의는 그래서 곤란하다. 지방분권 개헌을 비롯하여 부산의 미래가 걸린 현안이 산적한 상황에서 여타의 이슈를 일거에 집어삼키는 블랙홀이 될 가능성이 높은 신공항 문제부터 제기하는 것은 지역을 위해서나 나라를 위해서나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 심지어 여권에서조차 혼란스러워하는 이슈 제기 방식으로는 시민들을 설득하기 어렵다. 왜 지금에 와서 김해신공항이 아니고 가덕신공항이어야만 하는지 정부 여당의 분명한 입장부터 제시되어야 한다.

되돌아보면 신공항 문제는 지난 대선에서부터 어느 정도 진통이 예상된 이슈였다. 더불어민주당은 정부가 김해공항 확장으로 결정한 과정을 살펴보고 과정이 타당하면 관문공항에 맞는 공항을 건설하겠다는 공약을 내걸었다. 부산 공약 1순위로 꼽히는 '동남권 관문공항'은 '24시간 운영'과 '새 활주로 길이 연장' 같은 구체적인 대안이 나올 때에야 실현 가능하다는 점에서 김해신공항의 갈 길이 평탄한 것만은 아니다. 그렇다고 해도 가덕신공항을 덥석 선거 쟁점화할 게 아니라 일의 전후좌우를 소상히 알려 시민의 신뢰부터 얻는 게 책임 있는 정부 여당의 자세다.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