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경고음 울린 부산신항만 경쟁력 높일 특단 대책을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부산신항의 경쟁력에 경고음이 울리고 있다. 운영에서 인프라까지 한두 가지 문제가 아니다. 먼저 부산신항 안에서 '타부두 간 환적'이 증가하면서 선사의 비용이 늘어나고 있다. 타부두 환적 화물의 올 전체 예상치는 3월 176만 개였으나 최근 213만 개로 크게 증가했다. 원인은 올 4월 해운동맹이 기존 4개에서 3개로 재편되면서 부두 이용체계가 바뀐 데 있다. 타부두 환적을 계속 방치하면 부산항이 '비효율적'이라는 딱지가 앉아 외면 받을 수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신항 부두 야적장의 화물 점유율이 높은 것도 큰 문제다. 70%를 넘어가면 하역 효율성이 저하되고, 80%를 넘으면 원활한 작업이 불가능하다는데 2월 2부두(80.6%)와 4월 3부두(80.1%)는 80%를 넘어섰고, 6월 2부두(76.1%)와 3부두(71.6%)는 70%를 넘어섰다. 이러면 환적화물 추가 유치는 고사하고 신항이탈 물량이 발생할 위험성이 크다. 장기간 방치될 우려가 높은 '미지정 화물'에 대한 반입 제한 등 대책이 필요하다.

부산신항의 만족스럽지 못한 인프라는 비상한 문제다. 하역 장비가 적어 중국 항만들보다 '선석 생산성'에서 뒤처지고 있다. 2016년 부산항은 시간당 85.9개를 처리했는데 중국 옌티안 99.5개, 칭다오 93개, 광저우 91.9개보다 많이 모자란다. 세계 중심 항만의 경쟁력 지표인 '대형선박 선석 생산성'도 부산항은 세계 16위에 그쳤으나 중국 항만 6곳은 모두 10위 권에 들고 있다. 부산신항의 부족한 하역 인프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선 정부가 적극 나서야 한다. 신항 선석당 안벽 크레인은 세계 주요 항만의 평균치 4대에 못 미치는 3.3대에 불과하다. 이래 놓고선 국가 경쟁력 차원에서 부산신항을 말할 수 없다.

부산신항의 큰 과제는 제 팔 제 흔들기 식으로 운영 중인 각 부두에 대한 통합 운영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는 것이다. 부산항운영대책협의회의 실효성 있는 운영이 절실하다. 그래야 타부두 환적 등의 현안을 풀어 나갈 수 있다. 보세운송 규정 등의 규제도 지나치다면 반드시 손봐야 한다.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

    실시간 핫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