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항만공사 국감 자료] 화물창고로 전락한 부산 신항 배후단지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동북아 국제 물류중심 항만을 지향하고 있는 부산 신항이 수출입 화물을 단순 보관하는 물류 창고 역할에 그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신항 배후단지에 소규모 업체가 난립하면서 고용창출 효과가 미미한 데다 작업료·보관료 등의 덤핑 현상까지 빚어지고 있는 데 따른 것이다.

입주업체 66%가 '소규모'
고용 창출 2812명 '미미'
작업료와 보관료 덤핑까지
글로벌 물류거점 취지 무색

국회 농림해양수산위원회 소속 자유한국당 김성찬(창원시 진해구) 의원이 24일 부산항만공사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으로 조성된 총 418만 여㎡의 북컨테이너 및 진해 웅동 일대 부산 신항 배후단지에는 모두 62개사가 입주해 연간 172만 4081TEU의 화물을 처리(매출액 3512억 여원)하고 있다.

전체 조성면적 가운데 현재 입주업체에서 임대한 배후단지 면적은 북컨 101만 여㎡와 웅동 133만 6000여㎡ 등 모두 234만 6000여㎡이다.

그러나 신항 배후단지 내 62개 입주업체의 66%에 달하는 41개사가 부지면적이 3만 5000㎡ 미만인 소규모 업체인 것으로 분석됐다. 입주업체 가동 등에 따른 새로운 일자리 창출효과도 2812명에 그쳤다. 임대면적과 비교할 때 배후부지 830여㎡(250여평)당 근로자 1명이 고용된 셈이다.

소규모 업체 난립으로 웅동 배후단지 개장 초기인 2014년 t당 8000원을 웃돌았던 화물 작업료는 현재 5000원 이하로 38% 가량 떨어졌다. 또 개장 초기 t당 월 3만 원이었던 화물 보관료도 현재 2만 5000원 이하로 17% 가량 하락하는 등 작업료와 보관료 덤핑 현상까지 빚어지고 있다.

배후단지가 당초 조성 취지와는 달리 대부분 수출입 화물을 단순 보관하는 물류창고 역할에 그치는 등 효율적으로 운영되지 못하면서 결국 덤핑에 의한 입주업체의 경영실적도 악화로 연결되고 있는 것이다.

부산 신항 배후단지는 당초 화물의 보관·분류·조립·가공 기능을 집적해 다양한 물류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는 글로벌 복합 물류거점으로 육성, 신규 물동량 확보를 통한 부가가치 및 고용창출을 꾀할 목적으로 조성됐다.

이와 관련, 김 의원은 "항만 배후단지의 조성 취지에 걸맞게 부가가치와 고용창출을 도모할 수 있는 조립·가공·제조업체 등을 유치하고, 상대적으로 규제가 많은 1종 배후단지를 2종 배후단지로 완화하는 등 항만물류 뿐만 아니라 해양관광 등 복합적인 개발이 이뤄질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성훈 기자 lee777@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

    실시간 핫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