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성은의 스크린산책] 블레이드 러너 2049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인간의 존재론적 탐구' 철학적 메시지 담은 SF 걸작의 귀환

SF거장 리틀리 스콧이 제작한 '블레이드 러너 2049'. 소니 픽쳐스 제공

1982년 개봉된 이후, 두터운 마니아층을 형성하며 SF 영화의 고전으로 손 꼽혀온 '블레이드 러너'(리들리 스콧)의 시퀄, '블레이드 러너 2049'(이하 '2049')는 전작 이상의 감흥을 선사한다. 영화의 일반적 체험을 넘어서게 해준다는 점에서 영화라는 대명사 보다 '블레이드 러너' 시리즈라고 콕 집어 말하고 싶다. 'K'라는 알파벳으로 불리던 주인공이 '조'라는 이름을 갖게 되고 그렇게 불리게 되는 것처럼, 구체적인 호명은 늘 중요한 의미를 가지므로.

인간의 통제를 벗어난 복제인간('리플리컨트')을 추적해 퇴역 처분하는 블레이드 러너, 'K'(라이언 고슬링)의 이야기는 전편의 시간적 배경으로부터 30년이 지난 2049년에 펼쳐진다. 또 하나의 리플리컨트를 처리하고 나오던 K는 집 앞 나무 밑에서 이상한 것을 발견하고 수사에 착수한다. 오랫동안 묻혀 있던 과거의 사건들이 하나씩 밝혀지면서 K는 자신이 여기에 깊이 연루되어 있음을 알게 되고, 출생의 전말을 캐내기 위해 30년 전 블레이드 러너였다가 사라져버린 '릭 데커드'(해리슨 포드)를 찾아 간다.

전편에서 30년 지난 2049년 배경
암울한 미래서 찾은 한줄기 희망

12일 선보인 '2049'에서도 전편이 다루었던 인간의 존재론적 탐구는 계속 이어져 '인간'과 '복제인간', 즉 '태어난 것'과 '만들어진 것', '경험'과 '상상', 그리고 '진짜'와 '가짜', '가능'과 '불가능' 사이의 경계를 끊임없이 허물어뜨리는 방식으로 등장한다. 특히, 육체가 없는 K의 연인 '조이'와 창녀 '마리에트'가 합일(sync)되는 장면은 꽤 오랫동안 묘사되는데, 두 인물의 이미지가 다 살아있으면서 하나로 보였다가 다시 미묘하게 분리되는 신비로운 영상이 이러한 주제를 함축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수 십 년의 세월을 지나오면서 '2049'의 세계관은 보다 확장되어 또 다른 철학적 주제들과 맞물린다. 명령 복종을 위한 기계라는 이유로 '껍데기'(skin)로 놀림 당하던 K는 극의 후반부에서 '노예를 넘어서는'(more than slaves) 행위에 대한 도전을 받는다. "옳은 일을 하다가 죽는 게 우리가 할 수 있는 가장 인간다운 일이야"라는 복제인간의 대사가 '삶의 가치'라는 또 다른 주제를 적확하게 시사한다. 그래서 "나는 너희 인간들이 믿지 못할 것들을 봤어" 라며 죽음의 시간을 그저 받아들이던 전편의 리플리컨트는 '2049'에서 '기적'을 보았기에 명예로운 죽음을 택하는 리플리컨트로 대체된다. 디스토피아적 미래에서 새어나온 한 줄기 희망의 메시지가 강렬하게 전달되는 작품이다. 


윤성은

영화평론가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

    실시간 핫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