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김해공항 확장 서둘러야 신공항 전 혼잡 막는다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김해공항 현 국제선 청사 2단계 확장 관련 연구용역이 돌연 중단된 사실이 뒤늦게 밝혀졌다. 국토부는 지난해 11월부터 추진하던 용역을 새 정부 출범 뒤, 다소 어수선하던 올 6월 갑자기 중단시켰다고 한다. "의사 결정 기간이 필요하다"는 게 국토부의 해명이다. 그 의중은 나중에 김해신공항이 들어서면 매몰비용으로 전락할 공산이 큰 '확장 공사'가 부담스럽다는 것이다.

그러나 김해신공항이 개항되는 2026년까지 8년간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붐비는 김해공항을 출입국 승객들이 이용해야 한다는 것은 생각만 해도 끔찍하다. 부산의 관문 공항이 '지옥 같은 공항'이 되거나, '외면 받는 공항'이 되거나 둘 중 하나다. 2026년까지 부산의 국제 이미지는 떨어질 대로 다 떨어질 것이며 부산이 내세우는 관광객 유치와 전시컨벤션 글로벌 도시 구축은 '빛 좋은 개살구' 꼴이 될 것이다.

정부의 김해공항 정책은 '현실'을 외면하고 무시하고 있다. 그 단적인 예가 올 상반기 마무리된 국제선 청사 1단계 확장사업이다. 5년여 1334억 원을 들여 청사를 연간 여객처리능력 630만 명 수준으로 확장했다. 하지만 지난해 연말 이미 청사 이용객이 777만 명이었다. 지지부진한 1단계 증축 사업이 마무리되기도 전에 이미 포화상태를 넘어선 것이다. 이런 '승객 과포화'는 이미 예견돼 2단계 증축의 필요성도 2년 전부터 계속 거론돼 오던 차였다. 그런데 이번에 관련 용역이 느닷없이 중단된 것이다.

정부의 동남권 공항정책은 한마디로 갈피를 못 잡고 있다. 김해신공항도 소음, 장애물 안전, 활주로 길이 등 문제가 한둘이 아니다. 김해신공항 청사를 아예 새로 짓는다는 애초의 방향 때문에 막대한 예산을 들여 현 국제선 청사를 증축하는 것이 주저되는 것이다. 근시안적인 막다른 정책 결정 때문에 빚어진 엇박자다. 그래도 묘안을 짜내야 하는 것은 정부 몫이다. 연 630만 명을 수용할 수 있게끔 겨우 확장한 국제선을 올해 벌써 900만 명이 이용할 거라고 한다. 국토부는 발 디딜 틈 없이 극도로 혼잡한 공항 문제를 나 몰라라 해서는 안 된다.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

    실시간 핫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