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신북방정책을 부산이 주도하자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오거돈 전 해양수산부 장관

극동 러시아는 우리나라 역사와 오래전부터 호흡을 같이하고 있는 땅이다. 고구려, 발해와 같은 오래된 역사를 언급하지 않더라도 1860년대 조선이주민들 다수가 그곳에서 토지를 일구고 살았으며, 현재 블라디보스토크에도 정착촌을 세우고 1930년대 말까지 살았다. 우리의 땀과 얼이 배어 있는 땅이라 하겠다.

얼마 전 문재인 대통령이 그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신북방정책 비전을 제시하였다. 대통령은 러시아가 주최하는 제3회 동방경제포럼에서 러시아 및 동북아 국가들과의 협력 강화를 언급했다. 그리고 '9개 브리지 전략'으로 가스·철도·항만·전력·북극항로·조선·일자리·농업·수산 분야를 한국과 러시아가 협력해 나가야 할 연결고리로 언급하였다.

극동지역은 우리나라와 러시아의 이해관계가 교차하는 지점이다. 러시아의 신동방정책과 우리나라의 신북방정책이 교차하고 이전 정권의 '유라시아 이니셔티브' 역시 같은 맥락에서 중첩되어 진행되어 왔다.

두 나라의 관심이 교차하고 협력을 위한 꿈은 장밋빛이지만 과연 현실이 그렇게 될지 의구심이 생긴다. '9개 브리지 전략'의 핵심인 한반도종단철도(TKR)와 천연가스관, 북극항로 등은 현재 주변 환경에서는 그 결과를 도출하기에는 너무 먼 주제들이다.

정부가 추진할 신북방정책의 핵심인 '9개 브리지 전략'이 성공하려면 정부의 강력한 추진의지가 필요하다. 그리고 중장기적 관점에서 전략들이 추진되어야 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북방경제협력위원회의 설립은 환영할 만한 조치라고 생각된다. 이와 더불어 환동해 지역에 있는 도시들의 협력네트워크 강화가 필요하다. 극동 러시아의 발전을 위해서는 궁극적으로 물류네트워크의 강화가 필수적이다. 현재 북한으로 인해 분리된 극동 러시아와 우리나라의 물류네트워크 단절은 결국 해상과 복합물류네트워크로 풀어 나가야 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부산의 역할이 중요한 부분이다.

환동해 지역에서 인구 300만 이상의 유일한 글로벌 도시이자 세계 6위의 컨테이너 항만인 부산이 신북방정책의 중심지 역할을 해야 하는 것이다. '9개 브리지 전략' 중 핵심전략인 항만, 수산, 북극항로, 조선분야를 모두 주도할 수 있는 도시는 동북아해양수도 부산뿐인 것이다. 정부의 정책과 부산의 능력을 결합하여 극동러시아의 잠재력에 힘을 불어넣을 수 있는 작업이 필요한 것이다.

유라시아 대륙과 환태평양이 만나는 접점에 있는 부산이 극동러시아를 발판으로 신북방정책을 주도하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일일지도 모른다. 부산이 신북방정책의 선두주자로 극동러시아와 연결고리를 강화할 경우 자연스럽게 북한과의 연결고리도 만들어 나갈 수 있고 부산에서 해상으로 그리고 육상으로 유라시아 대륙까지 연결이 되는 날이 더욱 앞당겨질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부산시의 정책적 방향제시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제 환황해 경제권 시대와 함께 환동해 경제권 시대의 문이 열리고 있다. 블라디보스토크는 극동 러시아뿐 아니라 몽골, 북중국, 중앙아시아를 포용하는 동북아 경제거점으로 격상되고 있다. 부산은 환황해와 환동해 경제권의 접경지대이며 유라시아 대륙과 태평양을 연결, 관문기능을 하는 동북아해양수도를 지향하고 있다. 이러한 부산과 블라디보스토크가 양대축이 되어 환동해 경제권을 주도적으로 열어가야 한다. 한민족의 새로운 미래를 부산이 앞장서서 활짝 열어가자.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