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원도심 속 한진중 영도조선소 이전, 논의할 만하다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은 최근 한진중공업 영도조선소 이전 문제를 거론했다. 부지 26만㎡의 영도조선소가 자갈치시장과 함께 원도심 재생의 선도지역이 돼야 한다는 취지다. 영도조선소 이전과 함께 협력업체들을 옮기면 이 일대에 대한 획기적인 도시재생을 구상할 수 있다. 개항 이후 부산항 최대 프로젝트인 북항재개발도 이곳을 포함해야 제대로 이뤄질 수 있다. 부산항만공사도 1조 2000억 원으로 조선소 부지를 매입해 장차 이곳을 근대산업유산 명소로 추진한다는 계획을 갖고 있다.

영도조선소 이전 논의에 앞서 지켜야 할 전제가 있다. 한진중공업이 역외로 이전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원도심 재생이 많은 일자리를 없애면서 부산 경제의 손실이라는 결과를 낳아서는 곤란하기 때문이다. 1937년 조선중공업 출범에 연원을 둔 한진중공업은 현재 부산 3대 기업이다. KMI가 꼽은 이전 가능 지역 3곳 중 거제지역은 제외 1순위다. 막대한 이전 비용도 문제이고, '역외 유출 금지'라는 전제조건도 맞지 않는다.

한진중공업과 협력업체 이전에는 50만㎡가량이 필요하다고 한다. 나머지 후보지 2곳 중 감만·신감만부두는 부지가 100만㎡에 이르지만 터미널 운영사와의 계약문제 등으로 이전 용지가 부족하다고 한다. 유력하게 거론되는 곳은 북항 최외곽에 위치한 부지 117만㎡의 신선대부두다. 하지만 정부가 이 부두를 도심 컨테이너부두로 유지하려는 게 큰 걸림돌이라고 한다.

영도조선소 이전은 북항의 미래 청사진과 연결되는 문제다. 큰 추세로 볼 때 도심 컨테이너부두는 자꾸 바깥으로 이전해야 한다. 부산신항의 컨테이너부두가 확대되면 도심에 컨테이너부두를 유지할 필요성이 적어질 것이다. 신선대부두를 도심 컨테이너부두로 유지하겠다는 정부 방침에 대한 '열린 검토'가 필요한 것은 그 때문이다. 북항재개발은 1·2단계 개발 계획뿐 아니라 결국 우암부두~신선대부두에 이르는 북항 전체를 어떻게 개발할 것인지에 대한 청사진을 마련하는 것으로 이어져야 한다. 영도조선소 이전 문제도 그 틀에서 봐야 한다. 시민 공감대 확산이 필요하다.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

    실시간 핫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