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 하굿둑 개방 3년 내 결정"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정부가 낙동강 하굿둑 개방 관련 관계기관 회의를 열고 3년 내에 하굿둑 개방에 대해 결론을 내는 방안을 논의했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하태경 의원실과 부산시 등에 따르면 환경부는 지난 13일 해양수산부, 농림축산식품부, 부산시, 부산지방 국토관리청, 울산시, 경남도, 한국수자원공사, 한국농어촌공사 등이 참석한 가운데 문재인 대통령의 공약인 낙동강 하굿둑 개방을 위한 협의를 진행했다. 이번 회의는 하굿둑 개방 공약 이행과 관련된 첫 관계기관 합동 회의였다.

환경부 첫 관계기관 회의
"올해 안 일부 개방 모니터링"

이날 회의에서는 올해부터 2020년까지 낙동강 하굿둑을 일부 개방해 그 결과를 모니터링하는 연구용역을 수행하는 방안이 집중 논의된 것으로 전해졌다. 수문개방은 올해부터 조금씩 확대해 실시하고 주변의 농업 등에 미치는 영향을 모니터링해 추가 개방 등을 결정하겠다는 것이 환경부 등의 입장이다. 다만 개방과정에 발생할 수 있는 농업지역 지하수의 염도 피해에 대해 일부 부처가 우려를 드러낸 것으로 전해졌다.

염수피해 모니터링 연구용역은 빠르면 올해 안으로 발주될 예정이며 환경부는 가급적 3년 내 수문개방에 대한 결정을 내겠다는 입장을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문 대통령 임기 내에 하굿둑 수문의 완전 혹은 부분 개방이 이뤄질 가능성이 높아진 셈이다. 새 정부 들어 물 관리 업무가 환경부로 일원화되면서 그동안 문제가 됐던 관계부처 간 이해관계 충돌이 상당부분 해결됐고 이 때문에 환경부가 하굿둑 개방을 주도하면서 속도를 낼 수 있게 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다만 부산시는 하굿둑 완전 개방은 취수원 대책 등이 마련된 이후가 돼야 한다며 조심스런 입장이다. 김종우 기자 kjongwoo@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