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산대 하창식 교수, 일본고분자학회 'SPSJ 인터내셔널 어워드' 수상
기능성 유기/무기 나노하이브리드 소재 분야 세계 과학계 선도 공로 인정

부산대학교는 35년간 고분자과학 및 나노과학기술 분야에서 탁월한 교육ㆍ연구 성과를 창출해 온 공과대학 고분자공학과 하창식 교수가 일본고분자학회(The Society of Polymer Science, Japan)가 수여하는 'SPSJ 인터내셔널 어워드(International Award)'를 수상했다고 31일 밝혔다.
'SPSJ 인터내셔널 어워드'는 세계 최대 규모의 고분자과학 전문 학회인 일본고분자학회가 지난 1994년부터 매년 전 세계 고분자 과학 분야 발전에 기여한 과학자들에게 수여하는 상으로, 부산대 하창식 교수는 기능성 유기/무기 나노하이브리드 소재 분야에서 세계 과학계를 선도해 온 큰 공로로 이 상을 수상하게 됐다.
하창식 교수는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1982년 부산대 교수로 부임했으며, 고분자 나노하이브리드 소재,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나노 세공체 물질, 다성분계 고분자의 구조와 물성 등 기능성 유기/무기 나노하이브리드 소재 분야에서 활발한 연구를 수행해 700여 편의 학술논문과 70여 편의 국내외 특허 출원 및 등록, 20여 권의 저서 및 번역서를 발간하는 등 탁월한 연구 성과를 내고 있다.
특히 생분해성고분자/클레이 나노복합재료의 생분해 특성과 수분 차폐 특성을 세계 최초로 발표하고 플렉시블 유기전기발광소자(OLED) 또는 고분자태양전지 기판 소재로 응용되는 신규 투명 폴리이미드의 개발 및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나노 세공체의 새로운 합성법 개발과 신규 용도 개발 연구결과를 창출함으로써 세계 학계에 큰 주목을 받기도 했다.
이 같은 업적을 인정받아 국내에서는 과학기술부가 제정한 '이달의 과학기술자상'(2006), 부산대학교 Best Researcher(최고연구자)상(2007, 2009), 한국고분자학회 최고권위의 '삼성고분자학술상'(2011) 및 2014년 국가대표연구성과 100선(최우수상, 미래창조과학부 장관 표창) 등을 수상한 바 있으며, 이번에 국제적으로도 그 성과를 인정받게 된 것이다.
한편 시상식은 지난 30일 일본 도쿄에서 열린 일본고분자학회 제66회 연례 학술발표회 총회에서 진행됐으며, 하 교수는 수상을 기념해 특별 기조강연을 가졌다.
디지털미디어본부 news@busa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