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표용지 탓? 전국 13만 표 '무효'
좁아진 투표용지 탓일까? 역대 대통령 선거 중 가장 많은 후보자가 출마한 탓일까? 19대 대통령선거에서 역대 대선보다 많은 무효표가 나온 것으로 드러났다. 부산 지역의 무효표 수는 지난 대선에 비해 3000표가량이 증가했다.
부산시 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부산의 총투표수 226만 1633표 중 8924표가 무효 처리됐다. 지난 18대 대선에서 176만 5231표 중 5979표가 무효표로 나온 것에 비해 3000표가량 증가했다. 전국적으로는 19대 대선에서 3280만 7908표 중 13만 5733표가 무효 처리됐다. 선관위 측은 "투표율이 높아 무효표도 자연스레 늘어났다"고 설명했다.
후보 증가로 좁아진 용지
높은 투표율 등 분석 다양
하지만 무효표 비율을 계산해보면 단순히 투표수가 늘어서 무효표가 증가한 것으로 보기는 어렵다. 지난 18대 대선의 경우 부산은 1만 표당 33표꼴로 무효표가 나왔지만 이번 대선은 1만 표당 39표가 무효표였다. 전국적으로는 1만 표당 41표꼴로 무효표가 발생했다. 무효표가 늘어난 것은 절대 수, 비율 어느 수치로도 입증된다.
이 같은 무효표 증가를 두고는 다양한 분석이 나온다. 투표용지 칸이 좁아져 무효표가 많아질 것이라는 선거 전 우려가 현실이 됐다는 주장이 가장 설득력 있게 제기된다. 19대 대선의 경우 기표 용지상으로 후보자가 15명(사퇴 2명)이 되면서 투표용지가 길어졌다. 이에 따라 지난 18대 대선 당시 후보별 기표란은 가로 1.5㎝, 세로 1.3㎝였고, 기표 도장의 지름은 1㎝였는데 이번에는 기표란 세로는 0.3㎝가 줄었고, 도장 지름도 0.3㎝ 줄었다.
선거 개표 참관원들의 뜨거운 관심과 개표에 엄격해진 선관위의 태도가 무효표 증가로 이어졌다는 분석도 있다. 지난 9일 일부 개표소에서는 표의 효력을 두고 전례없이 참관인들과 선관위 위원 사이에 언쟁이 벌어져 참관원이 개표소에서 쫓겨나기도 했다. 개표에 참가했던 한 참관원은 "이전보다 선관위에 집중된 눈이 많아져서인지 현장에서 무효표 판독에 시간이 더 오래 걸렸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부산시 선관위 관계자는 "무효표 증가는 사퇴후보 2명, 투표수 증가 등 다양한 이유가 있을 것 같다"며 "개표 현장에서 무효표 판독을 위해 위원 교육, 회의 등을 통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준용 기자 jundrag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