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 당선] 정치적 고향 PK 인맥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PK 친노 중심, 당내 非文·학계까지 '풍부한 인재풀'

※ 사진을 클릭하면 더 크게 볼 수 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 당선인은 경남 거제시에서 태어나 부산에서 인권·노동변호사로 활동했다. 부산·울산·경남(PK) 지역은 그의 성장 터전이었다. 사회적 성장기 활동 무대였던 만큼 PK 지역 인연은 유독 넓고 깊다. 지역에서 동고동락하며 맺은 관계여서 끈끈하고 탄탄한 인연이다.

대통령으로 만드는 데 가장 크게 기여한 문 당선인의 PK 인맥은 당내 그룹이다. 더불어민주당 최인호 부산시당위원장은 부산선대위 상임선대위원장을 맡아 부산지역 선거운동을 책임졌다. 부산대 총학생회장 출신인 최 위원장은 문 당선인이 변호사일 때 첫 인연을 맺었다. 그는 참여정부 시절 청와대 부대변인으로 활동하며 당시 민정수석이던 문 당선인과 함께 생활했다.

※ 사진을 클릭하면 더 크게 볼 수 있습니다.

최인호, 오랫동안 동고동락

전재수·김해영 등 국회의원
김비오 등 원외 지역위원장
현장 누비며 지원군 역할

이호철, 부산 민심 '전령'
오거돈·정경진 '신흥 인맥'

현역 PK 국회의원도 문 당선인의 든든한 지역 인맥이다. 옛 민주계 출신인 김영춘·박재호 의원과 참여정부 청와대 제2부속실장을 지낸 전재수 의원, 흙수저 출신 부산 변호사인 김해영 의원 등 부산지역 국회의원들은 대선 기간 내내 부산 곳곳을 누비며 바람몰이에 나섰다. 경남 김해의 김경수·민홍철 의원은 각각 선대위 대변인과 경남도당 공동선대위원장으로 활약했다.

부산지역 원외 지역위원장들의 역할도 만만찮다. 부산선대위에서 이재강 서동구위원장은 상임본부장으로 나섰고, 김비오 중영도구위원장은 인재영입위원장으로 활동했다. 윤준호 해운대구을위원장은 대변인을 맡았다. 부산선대위 정책민원해결본부장이었던 정명희 부산시의원은 각계 민원 청취를 위해 귀를 열었다. 문 당선인의 '부산 특보'인 최상영 부산선대위 상황실장은 당선인의 오랜 측근이다.

이호철 참여정부 민정수석은 부산의 숨은 실력자로 꼽힌다. 그는 문 당선인과 수시로 소통하며 지역에 당선인의 의중을 대신 전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송인배 참여정부 청와대 행정관은 중앙선대위 후보 일정총괄팀장으로 문 당선인의 '동선'을 챙기는 역할을 했다. 부산선대위 비서실장으로 문 당선인을 곁에서 챙긴 정재성 변호사는 법무법인 '부산'에서 당선인과 함께 변호사 생활을 했다. 그는 고 노무현 전 대통령의 조카사위로 누구보다 문 당선인과 가깝다. 부산시약사회장 출신인 유영진 부산선대위 특보단장과 부산시당 수석부위원장을 역임한 강용호 홍보단장, 에너지관리공단 감사를 지낸 배갑상 부산선대위 선대본부장도 문 후보의 오랜 지역 인맥으로 꼽힌다.

대선에 임박해 부산선대위에 합류하며 문 당선인의 외연을 넓히는 데 기여한 외곽 그룹은 문 당선인의 신흥 인맥으로 분류된다. 임기가 보장된 대학 총장직을 던지고 상임선대위원장을 맡은 오거돈 전 해양수산부 장관은 지역 중도·보수층과 해양·수산계 지지세 확대를 위해 혼신의 힘을 쏟았다. 공동선대위원장인 정경진 전 부산시 행정부시장은 노 전 대통령의 부산상고 후배로 참여정부 시절 문 당선인과 청와대에 함께 근무한 인연이 있다. '선거 전략가' 남영현 전 오거돈 시장후보 총괄본부장도 오 전 장관과 함께 부산선대위에 합류해 힘을 보탰다.

문 후보와의 인연은 깊지 않지만 대선 과정에서 당내 40대 그룹의 역할이 두드러진 점이 인상적이다. 부산선대위 정종민 전략기획팀장과 이상호 종합상황실장, 박인영 대변인, 박진영 총무본부장 등이 차세대 주력 인물로 주목받고 있다.

 이현우 기자 hooree@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

    실시간 핫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