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선거운동 결산] 22일 간의 공식선거운동
세금으로 쓴 우편료만 후보 1인 42억
전례없는 '장미대선'의 공식 선거운동(3주)이 8일로 끝났다. 이번 선거에서는 5개 정당(더불어민주당, 자유한국당, 국민의당, 바른정당, 정의당)의 유력 후보들이 선거전에 뛰어들어 다자 구도를 형성했다. 유권자의 선택지는 늘었지만 각 캠프의 '빈익빈 부익부' 현상도 눈에 띄었다.
1t 유세차 1대 2000 만 원↑
공보물 한 권에 20억 넘어
물량 공세 vs 짠물 선거전
자금력 따라 전략 차 뚜렷
■물량 vs 효율
선거운동 기간 지지율 상위 5개 후보 캠프의 선거 전략은 극명하게 갈렸다. 보궐선거로 치러지는 만큼 자금력을 총동원한 '물량 공세'와 자금력이 상대적으로 약한 정당의 영양가 높은 '짠물 선거전'이 대비됐다.
정당의 자금력은 TV광고, 유세원 수, 공보물 등에서 확연히 드러났다. 문재인, 홍준표, 안철수 등 자금력이 풍부한 후보 캠프의 경우는 유세 차량 300여 대(최대치는 340대)가 전국을 누볐다. 유세 차량 한 대에 드는 돈은, 가장 작은 1t 기준으로 2000만~3000만 원에 달한다. 이들은 하루 7만 원씩 지급하는 유급 선거사무원도 법정 한도인 3931명을 운영했다.
반면 유승민·심상정 후보는 유세 차량을 시·도당 1대씩만 운행했고, 선거사무원도 몇백 명에 불과하다. 이들은 물량공세보다는 스쿠터를 타고 유권자에게 다가가거나, 후보의 패러디 영상 등을 통한 SNS 선거전으로 '일당백' 선거전을 펼쳤다.
■돈 없으면 공보물도 못 내
군소 후보들의 서러움은 공보물에서 여실히 드러난다. 지난달 25일까지 책자형 선거공보가, 지난달 29일까지 전단형 선거공보와 투표안내문이 가정에 발송됐다. 주목할 만한 점은 2차로 배달된 전단형 선거공보는 4명의 후보만 제작했다는 점이다. 문재인·홍준표·안철수 후보처럼 선거보조금을 많이 받고 자금력이 '빵빵한' 이들이다. 여기에 군소 후보로 분류되는 부동산 개발 사업가 출신 이경희 후보는 16쪽 전단 공보물을 자비로 찍어냈다.
공보물 한 권을 제작·배포하는 데도 20억 원 이상이 필요한 것으로 알려졌다. 전단물, 책자형 공보물의 경우 각 후보 캠프에서 자체적으로 인쇄비, 제작비를 부담하며 우편 배송료만 선거관리위원회에서 지원한다. 전국 유권자에 배달될 경우 후보당 우편료로만 세금 42억 원가량이 쓰인다. 대선 일정이 촉박하지만 유권자들이 선거공보물을 꼼꼼히 살펴봐야 하는 이유다.
■얼마나 쓰고, 어떻게 돌려받나?
각 후보의 선거비용은 어떻게 보전될까? 기준은 득표율이다. 득표율이 10% 이상인 정당·후보자에게 선거비용의 50%, 득표율이 15% 이상이면 전액이 보전된다. 앞서 유력 후보들이 돈을 '펑펑' 쓴 자신감이 여기에 있다. 선거비용은 후보자가 선거사무원 인건비, 연설·대담용 차량 등 선거운동을 위해 지출한 비용으로 선거 뒤 선관위에 청구하면 국가 예산으로 되돌려준다.
김준용 기자 jundragon@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