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금융도시 부산 위해 '기술금융중심지' 추가 지정하라"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부산 등 동남권의 미래 경제 동력을 확보하려면 기존 부산의 해양·파생금융중심지 기능에 기술금융중심지 기능을 추가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7일 부산경제살리기시민연대 등 부산지역 시민단체에 따르면 부산의 경제 발전을 위해서는 부산을 기술금융중심지로 지정하는 것을 서둘러야 한다는 여론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2009년 정부가 해양·파생금융중심지로 지정한 부산을 기술금융중심지로 추가 지정토록 하자는 것.
부산 본사 '기보' 적극 활용
기술금융공사 전환 추진
기술거래소 설치 등 제안도
부산을 기술금융중심지로 확대 지정하자는 여론의 골자는 부산금융중심지 핵심 시설인 문현금융단지를 기술금융 클러스터로 조성, 부산을 해양·파생금융은 물론 기술금융까지 아우르는 국제적인 금융도시로 발돋움시키자는 것.
특히 문현금융단지에 이미 들어선 국내 최고의 기술금융 기관인 기술보증기금(이하 기보)에 대한 국가 지원을 확대하면 부산이 손쉽게 아시아 최고의 기술금융중심지로 자리매김할 수 있다는 주장이 이어지고 있다. 기보는 1989년 4월 부산 중구 중앙동에서 출범해 2011년 문현금융단지로 이전하는 등 부산에서 태동해 한국을 대표하는 정책금융기관으로 성장했다.
기보가 보증기관이라는 이미지에서 탈피해 벤처기업 설립, 투자 지원 등 창업의 모든 단계를 지원하는 시스템을 최근 구축하는 등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하는 발 빠른 행보를 보이는 것도 부산이 기술금융중심지로 지정돼야 할 주된 이유로 꼽히고 있다.
더욱이 부산이 기술금융중심지로 추가 지정되면 기보를 중심으로 한층 공격적인 창업 지원에 나설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를 모으고 있다.
우선 현재 기금형 보증기관으로 지정돼 각종 활동에 제약을 받고 있는 기보를 가칭 기술금융공사로 탈바꿈시키는 방안이 추진될 수 있다. 지금은 기술보증기금법이 지정하는 활동만 할 수 있지만 공사로 바뀌면 각종 신규 사업을 자유롭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공사 변경 뒤에는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사고파는 기술거래소 등의 설치도 고려해볼 수 있다. 기보 산하의 기술평가기관인 중앙기술평가원을 부산으로 이전해 인력 200명 수준으로 확대할 경우 적극적인 기술 평가를 통해 창업기업에 한층 적극적인 지원을 할 수 있다는 의견도 제기된다. 기보가 특허청과 공동으로 각종 특허 등 지식재산의 허브로 자리매김할 지식재산진흥원을 설립하는 방안도 가능하다. 금융전문가들은 기보를 기술신탁기관으로 지정할 경우 신성장 기술 자체를 거래할 수 있어 창업 활성화 효과를 거둔다는 의견도 내놓고 있다.
박인호 부산경제살리기시민연대 공동대표는 "이미 국내 최고의 기술금융 종가로 성장한 기보가 뿌리내린 부산을 단순한 금융중심지가 아닌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할 혁신기업을 지원하는 기술금융 메카로 만들면 동남권은 물론 국가경제 발전에도 큰 도움이 된다"며 "부산시와 정치권은 대선이 끝나자마자 이 같은 사항에 대해 차기 정부와 적극적인 협의에 나서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천영철 기자 cyc@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