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D-4] 여론 변화로 본 5·9대선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촛불 민심 文·보수 결집 洪 "지킬 것인가 뺏을 것인가"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로 촉발된 5·9 대선 레이스가 결승선을 눈앞에 두고 있다. 성난 '촛불 민심'을 등에 업은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대선후보의 '대세론'으로 출발한 이번 대선은 갖가지 변수로 여러 변곡점도 맞기도 했다. 투표일을 코앞에 둔 최근에는 '보수 결집' 움직임이 판세를 흔드는 양상이다.

대선 국면이 본격화된 연말연초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의 등장은 문재인의 독주에 급제동을 걸었다. 마땅한 지지 후보가 없던 보수층과 반문재인 성향의 중도 지지층이 쏠리면서 반 전 총장은 한국지방신문협회·리얼미터가 실시한 여론조사(12월 22~25일,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 ±1.2%P)에서 23%의 지지율로 22.5%인 문 후보와 초박빙의 경쟁을 벌였다.

文, 지지율 역전 없는 대세론
반기문 등장·민주당 경선 등
수차례 변곡점 '무사통과'

'성완종 게이트' 항소심 무죄
洪, 보수 다크호스로 부상
재보궐선거서 한국당 '약진'

安, TV토론회 후 '직격탄'
지지율 19.1%로 떨어져

그러나 1월 12일 귀국 이후 보수와 중도를 오락가락하던 행보에 지지율이 급격히 빠졌고, 2월 1일 돌연 불출마를 선언하면서 이번 대선의 최대 변수는 허무하게 사라져버렸다. 2월에는 박영수 특별검사팀의 수사로 인해 국정농단 세력의 행태가 드러나면서 문 후보의 대세론은 더욱 공고해졌다.

그 와중에 '성완종 게이트' 관련 항소심에서 무죄를 받은 홍준표 경남지사가 자유한국당 대선 레이스에 뛰어들면서 일약 보수의 다크호스로 부상한다.

3월 10일 헌법재판소가 박근혜 전 대통령 파면 결정을 내리고, 황교안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차기 대선일을 5월 9일로 정한 직후 불출마를 선언하면서 보수 지지층은 또 한번 표류한다.

3월 중순부터 각 당의 대선후보 경선 레이스가 시작됐고, 민주당에서는 대연정, 사드(THAAD) 찬성 등 '우클릭' 기조를 앞세운 안희정 충남지사가 '적폐 청산'을 주장하는 문 후보와 대척점을 이루면서 지지율이 급상승한다. 한국갤럽의 2월 14~16일 조사에서 안 지사의 지지율은 22%로 올라 33%의 문 후보를 추격했다. 그러나 논란의 '선의' 발언 이후 안 지사의 지지율은 빠지기 시작했고, 결국 문 후보는 60%라는 압도적인 득표율로 결선에 오른다.

그 사이 새누리당에서 이름을 바꾼 자유한국당과 새누리당에서 탈당한 의원들이 '새로운 보수'를 표방하며 출범시킨 바른정당도 각각 경선을 통해 홍준표, 유승민 후보를 선출한다.

이변은 민주당 경선 이후 일어났다. 안 지사와 이재명 경기도 성남시장의 지지층이 같은 당 문 후보가 아닌, 국민의당 안철수 후보로 쏠려버린 것이다.

안 후보는 한국갤럽의 4월 11~13일 조사에서 37%의 지지율로 40%의 문 후보를 턱밑까지 따라붙었다. 일부 가상 양자 대결에서는 문 후보를 이기는 결과까지 나왔다.

그러나 한국당의 약진한 4월 재보궐선거는 '샤이 보수'의 존재를 확인시켰고, '촛불 대 적폐'로 흘러가던 대선 구도를 '보수 대 진보'로 변환시키려는 한국당 홍 후보의 전략이 효과를 나타내기 시작했다.

13일 시작된 대선후보 TV토론회는 후보 간 명암을 뚜렷하게 갈랐다. 토론회에서는 사드, 주적 등 안보 이슈가 집중 부각됐고, 문 후보와 홍 후보의 중간지대에 서 있던 안 후보가 직격탄을 맞았다.

한국지방신문협회·한국갤럽이 1일 발표한 조사(4월 30일~5월 1일, 표본오차는 95% 신뢰 수준에 ±1.8%P)에서 안 후보는 지지율이 19.1%로 떨어졌고, 대신 홍 후보는 14.9%로 뛰었다. 이로써 문 후보의 독주 속에 안, 홍 후보가 2위 경쟁을 벌이는 '1강 2중' 형세로 바뀐 것이다.

마지막 변수인 여겨졌던 중도·보수 후보 단일화는 대상 후보들이 독자 완주를 고수하면서 흐지부지됐다. 지난 2일 바른정당 의원들의 집단 탈당 사태가 벌어졌지만, 여론의 역풍 속에 홍 후보에게 호재가 될 수 있을지는 물음표로 남아았다.

정치권 관계자는 "중도·보수 단일화 무산 역시 따지고 보면 탄핵 사태로 분열한 보수 세력 간의 골이 깊어진 탓"이라며 "결국 이번 대선은 촛불 민심이 각종 변수를 제어하면서 선거판을 줄곧 이끌고 있다"고 평가했다.

전창훈 기자 jch@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

실시간 핫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