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D-8] 차기 정부 누가 이끌까… 안개 걷히는 '섀도 캐비닛(예비내각)'
대선이 8일 앞으로 다가오면서 각 후보 진영 마다 차기 정부를 이끌 '섀도 캐비닛'(예비내각)의 윤곽을 서서히 내놓기 시작했다.
섀도 캐비닛은 선거캠프의 논공행상과도 관련있지만 이번 대선의 경우 인수위원회 없이 선거 다음날부터 곧바로 차기 대통령이 임기가 시작된다는 점에서 안정적인 국정운영과 맥을 같이하고 있다. 또 예비내각 인선의 큰 그림을 통해 세 확장 또는 통합의 메시지를 전달하는 의미가 있기 때문에 후보 진영은 표심잡기의 수단으로도 활용하는 모습이다.
문재인 "비 영남 국무총리"
전윤철·김효석·진영 등 거론
통합 드림팀으로 내각 꾸려
안철수 "국회 추천 책임 총리"
반 탄핵·계파 패권세력 제외
安 지원 김종인 역할 주목
홍준표 "충청 출신 총리 검토"
국방, 대장 출신 박정이 제시
교육은 '전교조 제압' 인사로
유승민·심상정은 언급 없어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는 지난 달 27일 방송기자클럽 초청 토론회에서 '비(非) 영남 국무총리'를 염두에 두고 있다며 예비내각 논쟁의 논의에 불을 지폈다. 또 문 후보가 인선 기준으로 '대탕평'을 제시하자 당 안팎에서는 호남지역 출신의 중도·보수 인사가 총리를 맡는 것이 유력하지 않느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이런 맥락에서 거론되는 인사는 문 후보 선대위 공동선대위원장인 전남 목포 출신의 전윤철 전 감사원장과 전남 장성 출신의 김효석 전 의원 등이다. 박근혜 전 대통령의 '경제 가정교사'로 불렸던 전남 나주 출신 김광두 국가미래연구원장이나 전북 고창 출신 진영 의원 등도 보수진영 및 옛 여권을 끌어안을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문 후보 직속의 통합정부추진위원회(통추위)는 '내각 국민추천제' 등 통합정부 구성원칙을 밝혔다. 박영선 통추위 공동위원장은 "내각은 합리적 진보와 개혁적 보수 안에 드는 인재라면 누구나 폭넓게 기용해 통합 드림팀을 만들어야 한다"며 △총리의 장관 제청권 보장 △대통령과 당의 충분한 협의 △지역사회·언론·인터넷을 통한 인사 공개추천 등을 구체적 원칙으로 제시했다.
국민의당 안철수 후보는 최근 '대통합·개혁공동정부' 구상을 발표하면서 집권시 총리 인사권을 행사하지 않고 국회로 넘기겠다고 선언했다. 안 후보는 "책임총리는 국회의 추천을 받아 지명하겠다. 원내교섭단체 대표가 합의해 추천하면 그에 따르겠다"고 말했다. 또 "탄핵 반대세력과 계파 패권주의 세력을 제외한 모든 합리적 개혁세력과 힘을 합치겠다"고도 밝혔다.
장관 인선도 책임총리의 추천을 최대한 존중하겠다는 것이 안 후보의 구상이다. 한때 안 후보 집권 때 총리감으로 거론되던 박지원 당 대표와 손학규 상임 선대위원장 등은 '당내 인사가 총리를 맡으면 안 된다'고 마음을 비우기도 했다.
이런 가운데 안 후보를 돕기로 한 김종인 전 민주당 비상대책위 대표의 역할이 변수로 떠올랐다. 김 전 대표는 국민의당에 입당하지 않고 안 후보가 제안한 '개혁 공동정부 추진위원장'을 맡아 외곽에서 지원하기로 했다. 따라서 안 후보가 당선될 경우 시급한 과제인 '통합내각 구성'의 역할을 맡을 것이란 관측이다.
자유한국당 홍준표 후보는 지난 달 28일 차기 정부 조각(組閣) 구상을 내놓았다. 충청 출신 1명과 영남 출신 1명을 초대 총리로 검토 중이라고 밝힌 것이다. 홍 후보는 이 가운데 충청 출신에 좀 더 무게를 두는 것으로 알려졌다. 자신을 포함한 당내 주류가 영남 출신인 만큼 충청 인사를 내세워 '영남·충청 연대론'으로 선거를 치르기 위해서다.
'안보 대통령'을 표방하는 홍 후보는 국방부 장관으로는 현재 한국당 상임중앙선대위원장을 맡고 있는 박정이 전 육군 제1야전군사령관을 실명으로 제시했다. 아울러 교육부총리에는 '전교조를 제압할 수 있는 보수우파의 인사'를 영입할 예정이다. 법무부 장관은 호남 몫으로 배정해놨다고 한다.
지지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바른정당 유승민, 정의당 심상정 후보 측은 아직 예비 내각과 관련한 인선원칙 등은 밝히지 않았다.
박석호 기자 psh21@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