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자리도 '세대 불균형'…노인은 느는데 청년은 '바늘구멍'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심각한 청년 취업난 속에 대선 후보들이 청년 고용률 제고 대책을 앞다퉈 내놓고 있다.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후보는 청년고용할당제의 3년 한시적 도입을, 홍준표 자유한국당 후보는 청년 일자리 뉴딜 정책을,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는 비정규직의 정규직화를 각각 약속했다.

청년층과 달리 노인 고용률은 지속적인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 청년들의 취업이 낙타 바늘구멍 통과하는 것처럼 어려운 반면 노인 일자리는 지방자치단체들이 앞다퉈 벌이는 공공근로 확대에 힘입어 증가 추세다.

통계청에 따르면 전국 평균 고용률은 지난 1분기 기준 59.4%이다. 10년 전인 2007년 같은 분기 58.6%에 비해 0.8% 포인트 증가했다.

고용률은 15세 이상 인구 중 취업자가 차지하는 비율로, 이 수치대로라면 취업자가 다소 증가한 것이다.

그러나 이 기간 20∼29세 청년 고용률은 눈에 띄게 감소했다.

2007년 1분기 청년 고용률은 59.9%였으나 올해 1분기에는 56.9%로 3%포인트(P) 하락했다. 100명을 기준으로 할 때 10년 새 3명의 일자리가 줄었다는 얘기다.

이런 현상은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 마찬가지로 나타났다.

대전(4.8%P)이나 충북(4%P), 광주(1%P), 경남(0.9%P),강원(0.2%P) 등 5개 지역은 청년 고용률이 10년 새 소폭 상승했지만, 나머지 11개 시·도의 상황은 정반대였다.

전남의 청년 고용률은 10년 새 무려 11.8%P 떨어졌고 충남 7.3%P, 경북 6.8%P, 서울 5.6%P, 경기 3.2%P, 제주 2.8%P, 전북 2%P 각각 하락했다.

부산·대구·인천·울산도 1%P 이상 내렸다.

대학 졸업생들의 취업이 한층 어려워졌음을 보여주는 한 단면이다.

반면 60세 이상 노인 고용률은 10년 새 상승세를 유지했다. 2007년 1분기 34.7%에서 올해 1분기 36.4%로 1.7%P 상승했다.

대전의 경우 무려 12.3%P나 치솟은 것을 비롯해 충남·전남·전북·경북·경남을 제외한 전국 12개 시·도 노인 고용률이 눈에 띄게 상승곡선을 그렸다.

노인 고용률 증가는 각 지자체가 적극적으로 벌이는 노인 일자리 창출 사업 덕분이다. 공동 작업장 근무나 스쿨존 교통 지원, 일선 학교 급식 지원 등에 참여하는 노인이 점차 늘고 있다.

노인 일자리 창출을 위한 지자체 관련 예산도 매년 증가한다.

충북도의 경우 2015년 327억 원, 2016년 349억 원, 올해 382억 원으로 늘었다.

반면 청년 일자리 지원 사업은 제자리를 맴돌고 있다.

일부 지자체가 청년들을 선발해 행정기관 정보화 업무, 도로·환경 정비, 문화유적지 정화, 불법 광고물 정비, 건축물 현황 조사 등을 맡기고 있지만 대부분 한시적이다. 근본적 대책 없이 일회성 일자리에 그치다보니 청년 고용률 하락을 막는데는 역부족이라는 지적이다. 

송현수 기자 songh@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

    실시간 핫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