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D-11] 대선 후반전 '전(錢)의 전쟁', 후보 지지율 따라 '희비'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5·9 대선이 11일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각 후보들의 지지율 변화에 따라 소속 정당의 선거자금 전쟁도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

지지율이 상승하는 후보 측에서는 선거비용 보전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자금 사정이 나아지는 모습이다. 반면 지지율이 좀처럼 오르지 않는 후보 측에서는 선거비용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洪, 15% 이상 득표 자신감
선거비용 전액 보전 '화색'

劉, 지지율 한 자릿수 '비상'
당, 지출 줄이려 단일화 논의

文, 펀드 모금 통해 부담 덜어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대선에서는 15% 이상 득표 시 법정 선거비용 전액을 보전받고 10~15% 득표하면 절반만 보전받는다. 또 득표율이 10% 미만이면 선거비용을 전혀 보전받지 못한다. 15% 득표와 관련, 관심을 모으고 있는 자유한국당의 경우 최근 홍준표 후보의 지지율이 조금씩 오르면서 선거비용 보전 가능성도 높아진 것으로 자체 분석하고 있다.

한국당은 대선자금 마련을 위해 당사를 담보로 250억 원을 금융권에서 대출받은 상태여서 15% 이상 득표에 실패할 경우 당 재정에 큰 타격을 입게 된다. 선거 초반 홍 후보의 지지율이 부진한 모습을 보이자 당내에선 "사람을 빼가는 후보는 봤어도 당의 돈을 빼가는 후보는 처음"이라는 말도 나왔다. 그러나 최근 들어 지지율이 조금씩 상승하자 홍 후보는 "선거자금 문제는 이미 (15% 선을) 훨씬 넘어섰다"며 자신감을 보이고 있다. 한국당의 한 중진의원도 "우리당도 선거자금 펀드를 고려해볼 수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다만 당내에선 선거자금 마련을 위해 현역 의원에게 요구하고 있는 '특별당비'에 대해 여전히 부담스럽다는 반응이 나온다. 영남지역 한 의원실 관계자는 "특별당비를 내라고 하는데 상당히 부담스러운 상황"이라며 "좀 더 상황을 지켜볼 것"이라고 말했다.

바른정당의 경우 당내에서 유승민 후보를 향해 단일화를 요구하는 배경에 선거비용 문제도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더불어민주당과 한국당 등이 400억 원대의 대선비용을 마련한 것과 달리 바른정당은 100억 원 정도를 선거비용으로 잡고 있고 실제로는 63억 원의 선관위 선거보조금이 마련된 자금의 대부분인 것으로 알려졌다.

바른정당은 유 후보의 지지율이 10% 선을 넘기지 못할 경우 63억 원의 선거보조금 이외 추가로 투입되는 비용은 돌려받을 길이 없어진다. 신생정당으로서 감당하기 어려운 재정적 문제를 떠안는 상황을 피하기 위해 후보 단일화를 통한 비용 지출 중단 카드가 논의되고 있는 상황이다.

민주당의 경우 100억 원을 목표로 했던 '문재인 펀드'가 1시간 만에 329억 원을 모금해 마감하면서 선거비용 부담은 일찌감치 해결했다. 문재인 후보는 지난 18대 대선에서는 485억 원을 선거비용으로 지출해 박근혜 당시 새누리당 후보(479억 원)보다 6억 원 가량 더 많은 비용을 지출했다. 국민의당에선 안철수 후보 후원회 모금을 통해 선거비용을 조달하고 있으며 구체적인 모금 액수는 알려지지 않은 상태다.

김종우 기자 kjongwoo@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