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이 '북한=주적'이라고 답 못한 이유… 국방백서에도 주적 단어 안써
19일 열린 대선 후보들의 KBS 주최 토론회에서는 난데없는 '주적' 공방이 벌어졌다.
이날 바른정당 유승민 후보는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에게 "북한이 우리 주적이냐"고 물으면서 입장표명을 강요했다. 토론이 끝난 후 '주적'이라는 용어가 포털 실시간 급상승 검색어에 오르며 누리꾼의 관심을 끌고 있다.
토론회에서 문 후보는 유 후보의 질문에 "그런 규정은 대통령으로서 할 일은 아니다. 대통령은 남북관계를 풀어나갈 사람"이라고 즉답을 피했다.
이에 유 후보는 "우리 국방백서에 주적이라고 나온다. 정부 공식 문서에 북한이 주적이라고 나오는데 국군통수권자가 주적이라고 못하는 게 말이 되느냐"고 따졌고, 문 후보는 "대통령이 되면 남북간 문제를 풀어가야 할 입장이고, 남북정상회담도 필요하다. 국방부가 할 일이 있고, 대통령이 할 일이 따로 있다"며 입장을 고수했다.
주적이란 사전적으로 싸워야 할 '주된 적'을 줄인 말이다.
국방부는 '주적'이란 용어를 이미 폐기해 사용하지 않고 있다. 대신 '적'이란 말을 쓴다.
국방부가 지난 1월 발간한 가장 최신판인 '2016 국방백서'에도 주적이란 단어는 없다.
2016 국방백서는 "북한 정권과 북한군은 우리의 적이다"고 표현하고 있다.
박광온 더불어민주당 선대위 공보단장은 20일 "현재 국방백서에 주적개념이 삭제돼 있다. 2010년 육군정책 보고서에 주적이라는 표현이 들어가 있다"며 "최근 이명박 정부의 김태형 국방장관조차도 주적이라는 개념을 표현하지 않았다"며 유감을 표했다.
디지털콘텐츠팀 mult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