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초미세먼지 최악 부산, 원인부터 밝혀라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한반도를 뒤덮은 전운만큼이나 답답하고 숨 막히는 미세먼지로 마음 놓고 외출도 못 하는 나날이 계속되고 있다. 부산은 전국에서도 미세먼지, 특히 초미세먼지로 악명 높은 곳이다. 국내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 유발 물질 가운데 최대 15%를 차지하는 게 선박 배출가스인 데다 동남권의 유해 화학물질 배출량이 만만찮은 탓에 항구도시 부산은 대기오염에 관한 한 적색경고등이 켜진 도시다. 더욱 문제가 심각한 것은 부산시가 초미세먼지에 관한 원인조차 규명하지 못하고 있는 도시라는 사실이다.

지난해 부산의 초미세먼지 연평균 농도는 27ug/m3로 전국 7대 도시 중 최악인 것으로 밝혀졌다. 대전 21ug/m3, 울산·광주 23ug/m3, 대구 24ug/m3는 물론이고 수도권인 서울이나 인천의 26ug/m3보다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부산의 이 농도는 국내 기준인 25ug/m3를 초과할뿐더러 세계보건기구(WHO) 권고 기준인 10ug/m3의 2.7배에 달한다. '은밀한 살인자'로 불리는 초미세먼지를 WHO가 1급 발암물질로 규정한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사정이 이러함에도 부산시가 전국 최악의 초미세먼지 농도의 원인조차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은 우려할 만한 일이 아닐 수 없다. 오염원별 배출량에 대한 자체분석이나 연구가 없다 보니 원인 규명에 실패함은 물론이고 저감 대책 또한 나올 리 만무한 상황이다. 더 황당한 것은 서울시의 측정 장소가 부산보다 촘촘하지 않아 측정 오류가 있는 것 같다는, 사실과 전혀 다른 해명을 부산시가 내놓고 있다는 점이다.

시민의 건강과 생명을 위협하는 초미세먼지에 대해 현황 파악이나 원인 규명에 손을 놓고 있다는 것은 부산시가 사실상 아무것도 안 하고 있다는 말과 다름없다. 동남권대기청이 들어서야만 제대로 대처할 수 있다면 부산시는 그동안 뒷짐이나 지고 있겠다는 것인지 이해하기 어렵다. 전문가들은 미세먼지의 경우 정부 차원의 대책도 필요하지만, 항만도시냐 분지도시냐 등에 따른 지자체별 맞춤형 대책도 있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부산시는 답답하고 숨 막히는 대기행정부터 먼저 손봐야 한다.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