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이용부담금 내도 수질은 악화… '물 문제' 대선 공약으로"
대선을 앞두고 부산·경남지역의 먹는물 문제를 공약으로 채택하라는 요구가 커지고 있다.
특히 부산에서 15년간 6000억 원이 넘는 물이용부담금을 냈음에도 낙동강 수질 개선은 전혀 이뤄지지 않았다며 이에 대한 근본적인 대책 마련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높다.
지역 시민단체 기자회견
"부산 15년간 6330억 부담
유해화학물질에 상시 노출"
취수원 다변화 목소리도
먹는물부산시민네트워크, 부산하천살리기시민운동본부, 부산경남울산 낙동강네트워크는 11일 오전 부산시의회 3층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었다. 200개 시민단체 1000명이 참가하는 이들 네트워크와 시민운동본부는 낙동강 원수 수질을 한강 수준으로 개선하기 위한 대책 수립을 촉구했다.
이들은 "낙동강의 최하류에서 먹는물을 취수하는 부산·경남지역은 유해화학물질에 상시로 노출돼 있어 안전한 수돗물 공급을 받지 못하고 있다"면서 "각 대선 후보와 정당은 오는 2020년까지 특정수질유해물질을 근본적으로 개선하는 정책을 대선 공약으로 채택하라"고 요구했다.
이들은 물 이해당사자 중심 유역통합관리와 국가유역위원회 구성, 부처 간 물관리 일원화 등의 공약화도 촉구한 데 이어 물이용부담금을 낙동강 원수 수질 개선에 최우선적으로 사용하겠다는 정책을 공약으로 채택할 것도 제안했다.
㈔부산·경남생태도시연구소 '생명마당'과 녹색도시부산21추진협의회도 12일 정책 포럼을 열어 물이용부담금 문제를 공론화 한다.
주제발표를 맡은 서토덕 생명마당 책임연구원은 "낙동강수계법에 따라 부산시민은 안전한 상수원 수질을 위한 비용으로 2002년부터 15년간 물이용부담금 6330억 원을 부담했지만, 낙동강 중·상류 산업단지는 기존 100개에서 217개로 배 이상 늘어났다"며 "낙동강 수계에 유입되는 특정수질유해물질 배출량은 1999년 4만 1000t에서 2015년에는 55만 800t으로 10배 이상 증가하는 등 불안감이 가중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생명마당에 따르면, 낙동강의 BOD(생물학적산소요구량)는 2002년(2.6ppm)에 비해 지난해(2.0ppm)에 약간 개선됐지만, 같은 기간 COD(화학적산소요구량)는 5.8ppm에서 6.4ppm으로 오히려 악화됐다.
이런 가운데, 유해 남조류 번식에 따라 독성물질 검출 우려와 함께 소독 부산물 등으로 수돗물 안전성은 확보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어 연간 500억 원이 넘는 부산의 물이용부담금에 대한 재검토와 취수원 다변화가 필요한 시점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이자영 기자 2young@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