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부산현안 이렇게 푼다] 후보들 과거 '신공항 발언' 보니…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활주로 연장 등 '김해신공항' 건설 문제가 이번 대선에서 또다시 쟁점으로 부상하면서 주요 대선후보들의 과거 '신공항 발언'이 다시 주목받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와 국민의당 안철수 후보 등은 부산의 최대 현안이었던 신공항에 대해 '관문공항' '산업발전' 등을 외치며 최대한 지원하겠다는 뜻을 밝혀왔다.

문 후보는 지난 대선 당시 동남권 신공항에 대해 "5개 지자체의 공동관문으로 활용되고 인천공항에 맞먹는 허브공항으로 클 수 있는 위상을 가지고 만들어져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2012년 11월 부산 유세에서 "부산이 이미 가지고 있는 신항만, 철도 종착지를 활용하는, 육해공 물류 중심 기능을 할 수 있는 동남권 신공항이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신공항의 개념을 관문공항으로 규정한 셈이다. 문 후보는 지난 총선에서는 "부산에서 민주당 후보 5명을 당선시켜주면 가덕도 신공항을 건설하겠다"고 약속하기도 했다. 이 발언은 가덕 신공항 무산으로 책임 논란이 일기도 했으나 "가덕 신공항에 시장직을 걸겠다"던 서병수 부산시장이 시장직 사퇴를 거부하면서 책임론은 흐지부지됐다.

안 후보는 동남권 신공항 입지선정 발표 전까지 가덕도를 직접 지지하지 않았다. 그는 지난해 5월 부산에서 열린 지역현안간담회에서 신공항 입지와 관련 "(선정) 기준은 국익이 최대화되고 관련된 산업의 발전을 훨씬 더 신속하게 잘할 수 있고, 경제인들의 편의성이 극대화될 수 있는 방향으로 가야 한다"고 말했다. 안 후보는 지난해 6월 정부가 동남권 신공항 건설 계획을 백지화하고 김해공항 확장을 추진키로 결정하자 "(신공항은) 박근혜 대통령의 공약사안"이라며 "대통령의 입장표명이 필요하다"며 압박에 나서기도 했다.

자유한국당 홍준표 후보는 동남권 신공항 입지 선정과 관련, 밀양을 공식 지지한 바 있다. 그는 입지 발표를 앞둔 지난해 3월 "공정한 평가 기준이 정해지고 정치적 논리만 배제된다면 밀양이 당연히 신공항 입지로 결정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최근에는 "김해신공항의 활주로 길이가 3.8㎞가 되면 대형 항공기와 화물수송기가 뜰 수 있다"며 활주로 연장을 주장하기도 했다.

바른정당 유승민 후보의 경우 동남권 신공항이 김해공항 확장으로 결정난 데 대해 정부를 비판했다. 유 후보는 지난해 6월 국회에서 열린 신공항 관련 5개 시·도 중진의원 간담회에서 "(정부가)이제껏 (김해공항) 확장 불가라고 해놓고, 갑자기 확장이 최선의 대안이라니까 부산은 물론 대구도 납득 못하는 것"이라고 정부의 말바꾸기를 비판했다. 정의당 심상정 후보는 정부의 김해공항 확장 발표 이전부터 신공항 건설을 반대하고 김해공항 확장을 주장한 바 있다. 그는 지난해 6월 입지 발표를 앞두고 지역간 갈등이 고조되자 "어느 곳이냐를 떠나 영남권 신공항은 시대착오적 발상"이라며 신공항 건설 중단을 촉구했다. 김종우 기자 kjongwoo@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