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D-27] 문재인 후보 PK 주요 공약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신항 확충·북항재개발' 완성, 부산 '동북아 해양수도'로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대선후보가 11일 오후 부산시 금정구 범어사를 방문해 경내를 돌며 스님들과 인사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급하게 치러지는 이번 '장미 대선'에서 공약 경쟁이 실종됐다는 지적이 적지 않다.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대선후보가 11일 PK(부산·울산·경남)을 잇따라 방문, 대선후보 중 처음으로 지역 공약을 집대성해 공개한 것은 '준비된 후보'로서 차별성을 보이겠다는 의도로 보인다.

문 후보는 부산에 대해 '동북아 해양수도'라는 비전 아래 6개 분야, 22개 과제를 지역 공약으로 제시했다.

부산 혁신도시 3곳·창업밸리 조성
울산, 조선 일자리 보호 적극 지원
경남, 항공·ICT 단지 등 구축 추진

문 후보는 문 후보는 우선 지역의 조선업 위기와 한진해운 파산 등에 따라 미래지향적인 관점에서 부산항의 개발 필요성이 증대했다고 보고 부산 북항 일부에 한정된 현 재개발 계획 범위를 확대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이에 따라 북항을 원도심 및 영도 해양 혁신도시와 연계 개발해 해양 관련 경제 활동이 집중되는 '신해양경제 클러스터'로 구축할 계획이다. 문 후보는 이날 "참여정부가 부산을 동북아 해양수도로 만들기 위해 부산신항 확충과 북항재개발 계획을 세웠지만, 이명박·박근혜 정부 들어 지지부진해졌다"며 "문재인이 완성하겠다"고 강조했다.

김해공항 확장과 관련해서는 정부의 계획에 더해 중장거리 노선 확충, 24시간 운영, 원활한 환승체계를 갖춘 동남권 관문공항으로 육성하는 방안을 마련했다. 나아가 부산 신항만과 동남권 신공항, 남북철도를 잇는 '유라시아 철도'까지 수송망을 연계하는 '육해공 글로벌 복합 교통망'을 구축한다는 복안도 밝혔다.

일자리 창출 방안과 관련, 문 후보는 부산 혁신도시 3곳(영도·문현·센텀지구)을 해양 신산업 벨트로 묶고, 문현지구에는 '아시아 제1의 창업 밸리'를 조성키로 했다. 여기에 고리 5·6호기를 비롯한 신규 원전 건설 전면 중단 및 노후 원전 수명연장 금지 등 원전 안정성 제고, 부산·경남 공동 물관리기구 설립 등을 통한 청정상수원 확보 등도 제시했다.

울산의 경우, 기존에 발표한 한국해양선박금융공사 신설 및 지원 확대 방안을 통해 조선업 일자리 보호를 적극적으로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또 지난해 9월 경주 지진 이후 필요성이 높아진 각종 재해·재난에 대한 관리·예방시스템을 울산 지역의 새로운 특화산업으로 육성한다는 방안도 내놨다.

경남에 대해서는 사천 항공우주산업 특화단지에 기술개발과 생산성 고도화를 위한 인프라 조성을 지원하고, 2020년을 목표로 추진 중인 경남 항공산업국가산업단지 조성사업도 적극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창원공단에는 ICT(정보통신기술) 융복합을 지원하고, 소재부품산업 육성 및 스마트부품 IoT(사물인터넷) 융합 특화단지 조성을 추진하기로 했다. 또 상대적으로 낙후된 경남 서부·서북부 지역에는 김천∼거제 KTX 조기 착공과 6차산업 활성화, 관광 휴양 벨트 조성 등을 추진키로 했다.

부산선대위 최치국 정책단장은 "이번에 발표된 내용은 각 지방자치단체와 상공회의소 등 유관기관, 시·도당 내 싱크탱크 등에서 그동안 만든 정책들을 종합한 뒤 각 시·도간 형평성과 중복 여부 등을 가려 만든 지역 맞춤형 공약"이라고 말했다. 전창훈 기자 jch@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