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덕도 수리조선단지 난항] 수요·단가 예측 힘든 데다 불황 악영향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부산 가덕도에 수리조선단지와 해경정비창을 함께 조성하려는 것은 부산신항 경쟁력을 높이고, 수리조선 분야의 시너지 효과를 위한 것이다. 그러나 한국개발연구원(KDI)이 민자 사업으로 추진 중인 수리조선단지의 사업성을 낮게 평가하면서 이런 계획에 차질이 예상된다. 해수부가 재검토 의견을 제시한 만큼 결과를 좀 더 지켜봐야 하지만 현재 상태로라면 사업 추진이 어렵다. 여기에다 대선 국면에 다른 지역까지 해경정비창 유치전에 뛰어들면서 정치논리에 따라 사업의 발목이 잡힐 공산도 있다.

사업성이 낮게 평가된 것은 수요조사 때 선사들의 응답률이 낮고, 비교기준치가 없어 가격 평가도 계량화하기 힘들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 사업을 추진 중인 부산수리조선㈜의 양종훈 전무도 "수리조선단지는 처음 시도되는 것이라 수요·단가 예측 자체가 어려운 데다가 최근 조선해운업 불황으로 악영향을 받은 것 같다"고 말했다. 양 전무는 "수리조선은 신조(新造)와 같이 가야하는 사업"이라며 "자동차(선박 신조)를 만들면서 정비(수리조선)가 필수적인 것과 같은 이치다"고 덧붙였다.

해수부 "필요" 재조사 기대

해경정비창 확장·이전도
전남 지역서 군침, 새 국면

이런 상황에서 전남지역 8개 경제단체들이 '해경 제2정비장 유치를 통한 수리조선 특화산단 조성'을 대선공약으로 제시했다. 이는 가덕도 백옥포에 대형 수리조선단지를 조성하고 해경정비창도 확장·이전하겠다는 부산시 계획과 충돌한다.

사하구 다대포에 있는 해경정비창(1994년 5월 조성)은 낡고 적정 수용한계를 넘었다. EEZ(배타적경제수역) 등 광역경비 필요성이 높아져 경비정은 점점 커지고 있지만 1000t급 이상 경비정을 들어올릴 수 있는 시설이 없어 진해 해군 정비창에 수리를 맡기는 형편이다. 다대포 종합개발에도 걸림돌이 되고 있다. 이에 따라 2015년 4월 기획재정부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했고, 항만기본계획에 반영됐다. 부산시는 내년에 기본설계 등을 위해 국비 49억 원을 신청할 계획이었다.

부산시 해양수산국 관계자는 "만약 전남 지역에 해경 제2정비창이 생기면 다대포 정비창의 확장이전이 어려워지는 것은 물론 기존 정비창마저 빈껍데기로 전락할 공산이 크다"고 우려했다.

다대포 해경정비창에는 2414명이 상주(2015년 기준)하고 선박수리업체 45곳, 부품·자재 공급업체 97곳과 협력하기 때문에 지역경제 파급효과가 크다. 김마선 기자 msk@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