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앞 '대출 밀어내기' 조짐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대선을 앞두고 금융권에서 대출 '밀어내기'가 발생할 조짐이 보이자 금융당국이 대선 전까지 가계대출 관리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새 정부가 들어서자마자 이미 1344조 원까지 차오른 가계부채 문제가 전면에 대두된다면 상당한 부담이 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 관리의 고삐를 죄는 측면도 있다.

9일 금융감독원 관계자는 "대선을 앞두고 일각에선 4월 월간 아파트 분양 물량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할 것이란 전망이 나오는 상황"이라며 "자칫하면 정치권에 휘둘려 가계 부채가 큰 폭으로 늘어날 가능성이 있어 제2금융권을 중심으로 관리를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아파트 분양 홍수 전망
금융당국 "가계대출 관리"

금융당국은 일단 금융회사에 현장 점검을 나가거나 여신담당 임원을 면담해 주의를 당부하는 방식으로 가계대출의 급격한 증가를 막는다는 계획이다. 올해 1분기 은행권 가계부채는 증가 폭이 축소됐으나 제2금융권에선 가계부채가 6조 7000억 원 늘어나면서 여전히 지난해 같은 기간(6조 7000억 원)과 비슷한 수준의 증가 폭을 보이고 있다.

최근 금융당국이 연일 가계부채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를 내는 것은 5월 대선과 관계가 깊다. 각 당의 대선 주자들은 가계부채 문제 해결을 정책 우선순위에 두고 공약을 준비하고 있다.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는 가계부채 증가율을 소득증가율보다 낮게 유지하고 가처분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150%를 넘기지 않도록 관리하겠다는 공약을 내놓았다. 우리나라의 가처분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2015년 기준으로 169%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인 129.2%와 비교해 상당히 높다. 안철수 국민의당 대선후보는 지난달 미국이 기준금리를 인상하자 "가장 우려되는 부분이 가계부채"라며 "가계부채 정책을 따로 발표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시장에선 누가 대통령이 되더라도 '가계대출 옥죄기'가 다음 정부에서도 이어질 것이라는 예상을 하고 있으며 규제 강화 전에 대출을 늘려놓자는 분위기도 일부 감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정희 기자 ljnh@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