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安 양강 구도에 '제3지대' 인사들 몸값 쑥쑥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민주당 이언주 의원이 6일 탈당을 선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대선 레이스에서 양강 구도를 형성한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와 국민의당 안철수 후보가 '중도층 공략'에 사활을 걸면서 '제3지대' 인사들의 '몸값'이 상승하고 있다.

제3지대에서 단일 대선후보를 내겠다던 김종인 전 민주당 비상대책위 대표와 정운찬 전 국무총리, 홍석현 전 중앙일보·JTBC 회장은 최근 '3자 모임'이 계속 연기되는 등 불협화음을 내고 있다. 이들은 통합정부 구성의 필요성에 대해선 공감대를 형성했지만 대선후보 선출 방식 등에 대해선 이견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홍석현 전 회장 등 영입 경쟁
이언주 의원, 국민의당 입당

이 같은 어려움 속에서도 '외연 확장'을 위한 영입대상으로서 제3지대 인사들의 가치는 오히려 높아지고 있다. 문 후보와 안 후보가 중도층 공략을 위해 적극 나서고 있는 가운데 제3지대 인사들이 중도성향의 상징성을 갖고 있어서다. 문 후보 측 박광온 의원은 6일 CPBC 라디오 인터뷰에서 홍 전 회장 영입 필요성에 대해 "너무나도 당연한 말씀"이라며 "특정인을 거명할 수는 없지만 그런 (영입)노력들을 꾸준히 해 왔고 아마 조만간 그런 모습이 나타날 것"이라고 말했다. 안 후보 측도 제3지대 인사들에게 손을 내밀고 있다. 국민의당 김경진 의원은 이날 BBS 라디오 프로그램에서 "김 전 대표나 홍 전 회장이 (국민의당에) 입당해 주시는 게 좋지 않겠느냐"라고 말했다. 이날 민주당을 탈당해 국민의당에 입당한 이언주 의원도 김 전 대표에 대해 "다음 정부에서 꼭 역할을 하셔야 된다"면서 "제 역할이 필요하다면 (무엇이든) 해야되지 않는가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처럼 제3지대를 향한 영입경쟁이 불붙으면서 일각에서는 영입 과정에서 정치적 '거래'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다. 영입 조건으로 차기 정부에서 중요 역할을 제시하는 등의 공감대가 만들어질 수 있다는 설명이다. 제3지대 인사들이 경쟁력이 낮은 대선 독자 출마를 선택한 이유도 이 같은 노림수가 아니겠느냐는 분석도 제기된다.

김종우 기자 kjongwoo@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