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 1만 명 안 되는 동, 원도심 4구에 몰려 있네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중구·동구·서구·영도구 등 부산 원도심 4개 구를 통합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갈수록 힘을 얻고 있다. 사진은 부산 원도심 전경. 부산일보 DB

부산 원도심권(중·동·서·영도구) 중에서 동 단위 인구가 1만 명도 채 되지 않는 곳이 전체의 70%가 넘는 것으로 조사됐다. 공무원 1인당 주민 수도 다른 지자체의 절반에 불과해 원도심권 통합을 서둘러 '행정력 낭비'를 막아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부산 한 구청 조사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중·동·서·영도구 45개 동 중 인구 1만 명 이상 동이 전체 45곳 중 11곳(24%)에 불과하다. 중구 1곳(11%)을 비롯해 서구 3곳(23%), 동구 2곳(17%), 영도구 5곳(45%)만이 1만 명을 넘어섰다. 특히 중구의 경우 1개 동당 평균 인원 수가 5009명으로 가장 적다. 중앙동(1876명), 광복동(1297명), 남포동(1208명) 등은 인구수가 4개 구 중 최하위권이다.

45곳 중 11곳만 1만 명 이상
공무원 1명당 주민 수도
다른 지자체의 절반에 불과
"통합으로 행정 낭비 막아야"


인근 다른 지자체와 비교해도 원도심권의 동 단위 인구수는 턱없이 낮다. 전체 동 개수 대비 인구 1만 명이 넘는 곳이 해운대구 18곳(100%), 사하구 14곳(88%), 부산진구 20곳(100%) 등이다.

원도심권의 적은 인구 탓에 공무원 1인당 주민 수도 다른 지자체의 절반에 불과한 실정이다. 지난해 말 기준으로 원도심권 4개 구의 공무원 1인당 주민 수는 166명이다. 이는 해운대구 460명, 사하구 414명 등 대부분 400명이 넘는 것과 비교할 때 행정 효율성이 극히 떨어진다. 특히 중구는 공무원 1인당 주민 수가 96.7명으로 4개 구 중에서 가장 적다. 부산의 한 구청 직원은 "원도심권 주민 수는 줄어드는데 공무원 조직 규모는 요지부동"이라면서 "이미 중구의 경우 정상적인 궤도를 벗어난 비정상적인 행정 상태"라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원도심권 인구 감소가 기정사실화 된 상황에서 '통합' 등 대대적인 조직 개편 없이는 이러한 비효율적인 행정 행태가 가속화될 것으로 보고 있다. 경찰서, 선거관리위원회 등도 통합을 이뤄 행정력을 집중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부산대 행정학과 강재호 교수는 "원도심권은 해운대구보다 주민 수는 적으면서 공무원 수는 2.5배에 달한다"면서 "4개 구 통합으로 대대적인 조직 개편을 한다면 1년에 1500억 원의 예산 절감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대선 정국이 본격화되면서 최근 화두로 떠오른 부산 원도심 통합을 정치권에 요구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다. 부산의 한 행정학과 교수는 "지역 현안에 대한 정치권의 관심이 극대화된 만큼 각 정당의 부산시당에 '통합' 논의를 본격화하도록 문제 제기에 나서야 한다"고 밝혔다. 이승훈 기자 lee88@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