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단~녹산, 대저~명지 도시철도 건설 확정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부산시 도시철도 구축망 최적 노선도. 김도읍 의원실 제공

서부산권역의 대중교통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추진 중인 '하단~녹산선, 강서선(대저~명지)'이 포함된 부산시도시철도망구축계획이 4월 말에서 5월 중에 승인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부산권 도시철도 조기선설추진위원장인 김도읍 국회의원(자유한국당, 부산 북·강서을)은 "지난해 12월 부산시가 제출한 '부산광역시 도시철도망 구축계획 최종안'이 국토부 실무검토 및 관계기관 협의를 마치고 국가교통실무위원회에 상정돼 마무리 단계에 와있다"며 "사전에 국토부, 부산시 및 국회와 조율이 많이 되어 상정된 만큼 원안으로 통과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이번에 확정될 부산시 도시철도망구축계획은 기존 도시철도기본계획에 포함된 13개 노선 중 하단~녹산선을 1순위, 강서선을 2순위로 각각 선정했다. 이어 정관선(3위), 송도선(4위), 기장선(5위), C-Bay Park선(6위) 신정선(부산~울산 연결선, 7위) 순으로 투자우선순위가 결정됐다.

1순위로 선정된 하단~녹산선은 1호선 하단역을 출발해 명지국제신도시, 오션시티, 신호산업단지, 녹산산업단지까지 연결하는 총 연장 14.4㎞ 구간에 정거장 13개소가 건설된다. 총사업비 1조 477억 원을 투입해 하단~명지오션시티 구간 9.2㎞를 오는 2026년까지 우선 건설하고, 명지오션시티~신항입구교차로 구간(5㎞)을 2037년까지 순차적으로 건설할 계획이다.

하단~녹산선은 현재 실시설계가 진행중인 사상~하단선의 연장노선이기 때문에 이와 동일한 차량 시스템인 K-AGT(고무차륜) 방식이 적용된다.

운행방식은 자동무인운전으로 1편당(3량 1편, 예비차량포함 총 17편) 158명(혼잡시 213명)을 싣고 출퇴근시간(오전 7~9시, 오후 17~19시)인 첨두시간 4분, 비첨두시간 6분 간격으로 운행할 계획이다.

특히 하단~녹산선은 다른 교통수단과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 필요시 서울도시철도 9호선과 같이 급행열차 운행이 검토되고 있다. 급행운행 시 하단에서 녹산까지 걸리는 시간은 24분으로 일반운행 시간(38분) 보다 14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2순위로 선정된 강서선은 명지오션시티를 시점으로 하여 국제신도시, 에코델타시티 김해신공항부지, 대저역까지 연결하는 도시철도로서 강서구 남북을 관통하는 노선이다. 총 연장 21.3㎞에 총 사업비 5241억 원이 투입된다.

강서선 건설 사업은 2단계로 진행된다. 2026년까지 명지오션시티~에코델타시티 구간을 우선 개통하고, 에코델타시티~대저역 구간은 2035년까지 개통한다는 계획이다.

강서선은 하단~녹산선과 달리 서부산권 개발 특성에 부합하고, 도시미관 및 환경영향이 적은 트램(노면전차) 시스템이 적용된다. 최고속도 시속 60㎞로 1편성당(5모듈, 총 25편성) 정원 246명(혼잡시 334명), 첨두시 10분 간격으로 운행될 계획이다.

도시철도망구축계획을 국토부가 승인하고 나면 노선별로 예비타당성 조사, 기본계획 및 사업계획 수립을 거쳐 본격적으로 사업이 추진된다.

김 의원은 "하단~녹산선과 강서선이 건설되면 강서구의 동서남북 간선철도망 구축으로 급성장하고 있는 강서구의 대중교통 문제 해결은 물론 지역경제 활성화, 지역 균형발전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며 "사업이 차질 없이 추진돼 조기에 착공될 수 있도록 국회 차원에서 많은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송현수 기자 songh@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