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D-50] 대선 레이스 주요 관전 포인트는 대세론·개헌·朴 수사·고령층 표심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50일 앞으로 다가온 대선 레이스의 주요 관전포인트는 '문재인 대세론'의 지속여부와 정계개편, 개헌, 박근혜 전 대통령에 대한 검찰 수사 등이 꼽힌다.

문재인 대세론은 보수진영 주자들의 불출마가 잇따르면서 계속되고 있다. 일각에선 2002년 제16대 대선 당시 '이회창 대세론'이 '노무현 바람'에 무너진 사례를 들고 있지만 보수진영 후보들의 경우 탄핵 여파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반문재인' 후보 단일·연대 가능성
60대 이상 유권자 1000만 명 넘어


이 때문에 대세론을 깰 카드로 개헌연대가 주목받고 있다. 이미 더불어민주당을 제외한 자유한국당·국민의당·바른정당은 차기 대통령의 임기를 3년으로 단축하는 부칙 조항을 삽입한 개헌안에 합의했다. 이 안대로 개헌이 실현되면 대선에서 패해도 3년만에 다시 집권에 도전할 수 있는 길이 열리게 된다. 개헌연대가 속도를 내면 제3지대 빅텐트와 상승 작용을 할 수도 있다.

선거 막판 '반문재인' 후보 단일화나 연대 가능성도 열려 있다. 그 시점은 각 정당의 대선후보가 확정된 이후가 될 가능성이 크다. 바른정당과 한국당 간의 보수 단일화, 바른정당과 국민의당 간의 중도 단일화, 바른정당·국민의당에 더해 한국당까지 아우르는 범단일화 가능성이 제기된다. 21일 검찰 소환을 시작으로 본격화되는 박 전 대통령에 대한 검찰 수사도 '동정론 자극' 등을 통해 보수층 여론에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

이번 대선의 또다른 특징은 젊은 층 유권자가 줄어들고, 고령층 유권자는 늘어났다는 것이다. 행정자치부 주민등록 통계에 따르면 지난 1월 말 주민등록상 19세 이상 선거인 인구는 4235만 7906명이다. 이를 바탕으로 유권자 연령대별 분포를 추정해 보면, 60대 이상 고령층이 크게 늘어났다. 60대 이상 인구는 1018만 8685명으로, 전체 19세 이상 인구의 24.1%에 이른다. 지난 2012년 대선 당시 20.8%보다 비중이 3.3%P 상승한 것이다. 60대 이상 유권자는 역대 처음으로 1000만 명을 넘길 것으로 보인다. 50대 인구 비중도 지난 대선 때 19.2%에서 19.9%로 소폭 상승할 전망이다.

반면 20대 인구는 675만 5312명으로, 전체 19세 이상 인구 중 비율이 15.9%다. 4년여 전 16.4%에서 소폭 하락했다. 지난 대선 때 전체 유권자 20.1%를 차지했던 30대는 가장 큰 폭으로 감소했다. 1월 말 현재 비중이 17.8%(751만 9950명)로 2.3%P 급감했다. 지난 대선에 21.8%이던 40대 유권자도 20.8%(879만3768명)로 1%P 줄었다.

각종 선거와 사회적 이슈를 놓고 '세대 간 대결' 양상이 자주 나타나는 상황에서, 이처럼 고령층이 늘어난 인구 구조 변화가 대선 판도에서 또다른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박석호·김종우 기자 psh21@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