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조선해양 1년 만 버티면 23조 회수"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대우조선해양의 운명이 이번 주 결정된다.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 등 채권단은 23일 대우조선 처리 방안을 발표할 예정이다. 채권단은 현재 유동성 위기에 빠진 대우조선에 대한 추가 지원 지원 규모와 형식 등을 논의 중이다.

채권단 처리 방안 23일 발표
"도산 땐 57조 원 경제 손실"
지역 상공계 "퇴출 절대 불가"

■'양날의 칼'이 된 RG


부산·경남 상공계는 "대우조선의 퇴출은 지역경제에 궤멸적 타격을 가져올 것"이라며 퇴출에 대해 '절대 불가' 입장이다. 지역 조선업계에 따르면 대우조선이 무너질 경우 계약 미이행 등에 따른 전체 경제손실 추정액은 약 57조 원이다. 여기에 4만 명이 넘는 직간접 근로자들의 대량실업 충격이 발생한다.

114척 수주잔량에 따른 RG(선수금환급보증)콜은 '양날의 칼'이 되고 있다. 조선소를 계속 가동할 경우 든든한 일감이 되지만 퇴출이나 워크아웃 등 법적 강제성이 부여되는 형식으로 구조조정이 진행될 경우 RG콜로 거액을 물어줘야 하기 때문이다. 대우조선은 원화로 2조 799억 원, 달러화 92억 200만 달러, 유로화 1500만 유로, 파운드화 4억 2700만 파운드 등의 이행성 보증을 제공받고 있다. 원화로 환산하면 대략 13조 원이 훌쩍 넘는다.

이동걸 산은 회장은 이와 관련, 지난달 "대우조선이 도산하면 57조 원의 사회경제적 손실이 발생하지만 1년만 버티면 23조 원이 회수된다"고 설명했다.

■"한진해운 실책 반복되나"

한진해운 법정관리행 결정 당시 금융당국은 주된 이유 중 하나로 오너가의 부적절한 처신을 꼽았다. 이에 대해 해양계는 "당시 한진해운 오너가의 부도덕성과 별도로 한진해운을 살렸어야 했다"며 "한마디로 교각살우한 꼴"이라고 지적했다.

대우조선의 경우 전임 사장들이 부실을 숨긴 채 고액 연봉을, 임직원들은 성과급을 받은 것이 부도덕한 사례로 거론된다. 여기다 대우조선 경영진은 성과를 포장하기 위해 저가에 무리하게 수주를 지시한 책임이 있다.

정부 실책도 있다. 정부는 2015년 지원 결정 이후 "추가 신규 자금 지원은 없다"고 여러 차례 밝혔으나 결국 말을 뒤집었다. 이에 대해 해양계는 "금융당국 책임자에 대한 처벌을 강도 높게 해야지, 이를 대우조선 퇴출로 연결시키는 것은 한진해운 퇴출의 실책을 반복하는 꼴"이라고 지적한다.

■대우조선 회생 방안은

지원 내용은 신규 자금 지원과 출자전환 등 채무 재조정이 거론된다. 지원 형식은 조건부 신규 자금 지원(현상유지), 조건부 자율협약, 워크아웃, 법정관리, P(프리패키지드)플랜 등이 오르내린다.

정부와 채권단은 대우조선에 3조 원 규모의 자금 지원 방안을 논의 중이다. 금융당국은 채권은행들에 새로 돈을 빌려주라고 설득하고 있으나 일부 은행은 난색을 표명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신규 자금 지원의 규모와 방식 외에도 당장 대우조선의 발등에 떨어진 불은 다음 달부터 내년 4월까지 만기가 돌아오는 1조 3500억 원 규모의 회사채를 어떻게 막느냐는 것이다. 채권자들이 만기 연장이나 상환 유예 등의 조치를 취해주지 않을 경우 부도 위기를 맞게 된다.

금융당국은 채권은행 등의 동의를 얻게 되면 오는 23일 '조건부 자율협약'에 가까운 유동성 대책을 발표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주환 기자 jhwan@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

    실시간 핫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