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금리 추가 인상] 금리·물량 폭탄·대선 '거대 파도'에 부산 부동산 긴장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미국 금리인상 발표 후 16일 열린 금융시장에서 코스피는 상승세를, 원·달러 환율은 하락세를 보였다. 미 금리 여파로 국내 주택담보대출 금리 역시 함께 오를 가능성이 높다. 연합뉴스

부산 부동산 시장에 악재가 될 3개의 파도가 밀려오고 있다. '금리 인상'과 '입주물량 과다', '대선'이란 3가지 메가톤급 이슈가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는 부산 부동산 시장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지역 경제 전문가들은 조선·해양 분야 불황 속에 부산 경제를 버텨온 중요한 한 축인 부동산 시장이 위축될 경우 부산 경제에도 충격파가 미칠 수 있다는 관측도 내놓고 있다.

① 주택담보대출 2%P 오를 듯
금리 차 줄이려 인상 불가피
가계 추가이자 부담 눈덩이

② 올해 1만 9000세대 입주
매매가 하락→거래 감소로
부동산 가격 조정 가능성

③ 새 정부 부동산 정책 주목
현재 가계부채 1344조 원
시장 안정화 정책 펼칠 듯

■美 영향 주담대 금리 인상 불가피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가 연방기금 기준금리를 인상하면서 국내 금융기관 역시 시중금리 인상을 검토 중인 것으로 보인다. 이 경우 주택담보대출 금리 역시 함께 오를 것이 확실시된다.

전국은행연합회에 따르면 현재 주요 시중 은행의 주택담보대출의 평균 금리는 3.2~3.5%대다. 주요 은행들은 지난해 12월 미 연준이 기준금리를 0.25% 포인트 올리면서 잇따라 주택담보대출 금리를 올렸다.

미 연준은 올해 2차례 추가 인상을 비롯해 2019년까지 기준금리를 3%대까지 끌어올릴 것으로 보인다. 이 경우 주택담보대출 금리 역시 2% 가까이 올라갈 수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관측이다.

BNK금융경영연구소 박재현 수석연구원은 "현재 3% 중반대인 주택담보대출 금리도 2% 포인트가량 올라갈 수 있다"고 전망했다.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2% 포인트 오를 경우 서민들의 이자 부담은 커질 수밖에 없다. 만약 1억 원을 주택담보대출을 3.5%에 빌렸을 경우 매월 29만 원가량의 이자를 내면 되지만, 5.5%까지 오를경우 월 이자는 45만 원까지 급등할 수 있다.

■입주 물량 급증에 가격 하락 우려도

입주 물량이 급속하게 늘어나는 것도 부산 부동산시장엔 악재로 작용할 수 있다. 전문가들은 '물량 증가 → 매매·전세가 하락→ 거래량 감소'의 악순환이 이어질 경우 실수요자와 투자자의 투자 심리는 급속하게 얼어붙을 수 있다고 내다보고 있다.

부동산서베이에 따르면 올해 부산 시내 입주 예정인 세대수는 최대 1만 8902세대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전체 입주 세대 중 60%에 육박하는 1만 925세대가 7월 이후 입주 예정이다. 이들 단지들은 대부분 부산 부동산 시장의 호황이었던 2014년~2015년에 분양했던 단지들이다.

부산 지역에서는 2018년에도 잇따라 대단지 아파트들의 입주가 예정돼 있다. 특히 남구의 경우 1만 세대가량이 내년 중 입주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물량 과다 부담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부동산서베이 이영래 대표는 "2012년께 북구 화명동에 5300세대 대단지 아파트가 입주했을 당시 주변 집값이 하락한 전례가 있다"며 "금리 인상에 따른 여파가 맞물릴 경우 남구는 입주 물량이 남는 현상 속에 가격 조정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대선 후 정책 변화 잘 지켜봐야

대통령선거 이후 정부의 부동산 정책 기조도 중요 변수다. 부동산 학계에서는 현재 가계부채가 1344조 원을 넘어선 상황에서 차기 정부가 주택담보대출 완화 등을 통한 부동산 시장 활성화 정책을 내놓기란 사실상 어렵다는 게 중론이다. 주택담보대출을 통한 가계부채가 더 확대될 경우 서울과 수도권, 부산 등 대형 부동산 시장을 중심으로 급격한 시장 충격이 올 수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때문에 건설사들의 공급 물량 축소 등을 통한 시장 안정화 정책이 도입될 가능성이 높다.

영산대 서성수 부동산자산관리전공 교수는 "하반기 새 정부가 시장 경기 연착륙을 위해서 규제 정책을 내놓을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동의대 강정규 부동산금융·자산경영학과 교수는 "저금리 기조 속에 부산 경제를 받쳐온 부동산 시장의 조정 국면은 다소 불가피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한수 기자 hangang@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