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개헌 병행"… 황교안 "불출마"… 대선 구도 '출렁'
정부가 오는 5월 9일 대통령선거를 실시하기로 최종 확정하면서 19대 대선이 54일 앞으로 다가왔다.
하지만 15일 하루 동안 발생한 메가톤급 이슈들로 대선 구도가 심하게 요동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을 제외한 주요 정당들은 대선 때 개헌 국민투표를 실시키로 합의했고, 범여권의 유력주자인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은 불출마를 선언했다. 일부 정당은 경선 룰을 놓고 대립하고 있고, '반문재인 연대'도 성사가 불투명하다. 시간이 지날수록 더욱 복잡해지는 양상이다.
한국당·국민의당·바른정당
개헌 국민투표 추진 전격 합의
黃 "공정한 대선 관리 집중"
한국·국민의당 경선 룰 내홍
한국당 국민의당 바른정당 등 3당 원내대표와 국회 헌법개정특위 각 당 간사들은 15일 국회에서 만나 대통령선거 때 개헌안 국민투표를 함께 진행하기로 전격 합의했다. 이들 3당은 4년 중임 분권형 대통령제 도입을 골자로 한 단일 헌법개정안 초안을 마련했으며, 다음 주 초까지 최종안을 확정하기로 했다. 여기에는 반문(反文) 성향의 민주당 의원들도 동조하고 있다.
이들이 개헌을 고리로 '연대'를 형성할 경우 '문재인 대세론'이 흔들릴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개헌안이 국민투표에서 통과되면 차기 대통령의 임기 단축 가능성도 있다.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의 대선 불출마 선언은 개헌 국민투표보다 더 큰 이슈다. 황 권한대행은 이날 임시 국무회의를 열고 19대 대선일을 공식 지정한 뒤 불출마 입장을 밝혔다. 그는 "국정 안정과 공정한 대선 관리를 위해 제가 대선에 출마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그의 갑작스러운 불출마 선언에 정치권은 다양한 반응을 보였다. 한국당 일부 인사는 아쉬움 과 함께 호남 출신 김황식 전 국무총리 투입론을 제기했고, 나머지 정당과 대선주자는 일제히 환영을 표했다.
다른 주자들의 반발에도 '특례규정'까지 만들어 '황교안 모시기'에 공을 들여온 한국당은 이날 경선 룰을 대거 변경했다. 한국당은 이날 오후로 예정됐던 후보 등록 마감을 하루 연기했고, '100% 여론조사'를 현장투표와 여론조사를 5 대 5로 실시키로 했다. 본 경선 기탁금도 3억 원에서 2억 원으로 낮춰 많은 후보가 등록할 수 있도록 했다.
그러자 경선 보이콧을 선언했던 이인제 전 경지지사와 김진 전 중앙일보 논설위원은 다시 경선에 도전키로 했지만 보수진영 1위를 고수하던 황 권한대행이 불참함에 따라 한국당 대선후보 경선이 흥행될 수 있을지 미지수다. 일각에선 거론되는 '김황식 투입론'도 설득력이 떨어진다는 지적이다.
![]() |
15일 서울 여의도 바른정당 당사에서 김무성(왼쪽 세 번째) 고문이 탄핵 이후 자유한국당을 탈당해 바른정당에 입당한 지상욱 의원과 악수하고 있다. 박희만 기자 phma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