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부산 해운거래소 성공해 '해운·금융 허브' 기틀 되길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동북아 해운·금융의 허브로 가는 첫 단추인 한국형 해운거래소의 부산 설립이 가시화되고 있다는 것은 반가운 소식이다. 더불어민주당 김영춘 의원(부산진구갑)이 대표 발의한 '해운업법 일부개정법률안'이 2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이 개정안은 해운시황 분석과 해상운임지수 개발, 선박 경제성 평가 등을 전문적으로 수행하는 기관을 지정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당연히 그 기관은 부산에 세워질 것이다. 부산항은 세계 6위(2016년) 항만으로 한국 컨테이너 총 물동량의 75%를 처리하고 있다. 전 세계 400여 개 항만과 연결돼 있으며 특히 미주항로의 마지막이자 첫 기항지라는 독보적인 위치를 점하고 있다. 한진해운 구조조정의 큰 풍파를 겪었음에도 불구하고 올해 들어 컨테이너선 정기항로 수는 개항 이래 최대치인 531개를 기록해 세계적 항만임을 다시금 입증했다.

그러나 수출 기업들은 한진해운 파산으로 해상운임이 10~30% 급등해 아우성을 치고 있다. 운송 차질, 납기 지연, 거래처 이탈 등 부작용이 속출하고 있다. 국적 선사들의 시황 대응능력을 높이는 해운거래소가 필요한 것은 이 때문이다. 해운거래소가 들어서면 20년간 3500억 원 규모의 산업연관효과 발생, 3조 원 규모의 선물거래시장 조성, 2000명의 고용유발효과 창출 등이 점쳐진다. 현재 해운시황정보를 해외기관에 의존하면서 치르는 연간 비용 100억 원도 고스란히 절감할 수 있게 된다.

4차 산업혁명을 말하는 지금, 부산항은 선박과 컨테이너 출입뿐 아니라 해운·조선과 금융을 복합적으로 묶는 새로운 산업 창출로 나아가야 할 시점에 있다. 특히 세계선박금융의 축은 절대 강자였던 영국 런던에서 중국 상하이로 점차 넘어가고 있다. 부산항은 중국 항만과 나란히 경쟁하기 위해 해운거래소가 반드시 필요하다. 부산은 금융중심지 지정 이후 정부의 홀대와 더딘 지원에도 불구하고 해운·선박금융중심지를 향해 차근차근 전진하고 있다. 그간 부산에 한국해양보증보험 해양금융종합센터 한국선박금융 등이 속속 설치된 것은 '해양금융허브 부산'의 대세를 거스를 수 없기 때문이다. 이제 부산은 해운거래소를 설치해 동북아 해양금융중심지를 향해 한발 더 성큼 나아가야 한다.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