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가오는 탄핵 심판… '거리 정치'로 맞서는 여야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탄핵 기각설'의 확산과 함께 여야 정치권이 태극기집회, 촛불집회 등에 적극 참여하고 있다. 사진은 지난 11일 서울 광화문 광장에서 열린 탄핵촉구 시민대회(왼쪽)와 서울 덕수궁 대한문 앞에서 열린 탄핵무효 태극기 애국집회 모습. 연합뉴스

헌법재판소의 '2월 박근혜 대통령 탄핵 결정'이 무산된 이후 '탄핵 기각설'이 확산되자 여야 정치권이 촛불집회, 태극기집회 등 '거리 정치'에 적극 참여하며 탄핵 찬·반 바람몰이에 나서고 있다. 특히 그동안 야당의 촛불집회 참여에 대해 '선동 정치'라고 비판하던 새누리당은 친박(친박근혜)계를 중심으로 현역 의원들의 태극기집회 참여가 늘어나면서 사실상 탄핵반대 입장을 공식화하는 게 아니냐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새누리당은 소속 의원들의 탄핵반대집회 참여를 개인의 자율에 맡기고 있지만 최근 참여 의원이 늘어나고 있다. 그동안 현장에 꾸준히 참석한 현역 의원은 '강성 친박'으로 분류되는 김진태 의원 정도에 불과했으나, 설 연휴를 지나면서 보수 지지층 결집에 힘입어 참가자들이 조금씩 늘어나는 양상이다.

새누리 의원 태극기집회 참여 확산
탄핵 반대 공식화 수순 전망
민주 지도부 등은 대거 촛불집회로
국민의당·정의당 "조기 인용을"
바른정당은 "국민선동 집회 안 돼"

특히 지난 11일에는 친박계 의원들과 대선주자들이 대거 태극기를 들고 거리로 몰려나왔다. 이날 서울 덕수궁 대한문 앞에서 열린 탄핵 반대 집회에는 윤상현 조원진 김진태 박대출 이우현 전희경 의원과 대권도전을 선언한 이인제 전 최고위원이 참가했다.

이처럼 다수의 여당 인사들이 탄핵 기각을 촉구하는 집회에 모습을 드러낸 것은 달라진 당내 분위기를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태극기 집회에 여러 차례 참석해 온 김진태 의원은 12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이제 판 뒤집혔다"고 적었다. 친박계 핵심인 윤상현 의원도 페이스북에 "애국 어머님들은 (집회에서) 박 대통령에 대한 그리움에 뜨거운 눈물을 흘렸다"고 썼다. 당내에선 비박계 의원 24명이 여야 의원들의 탄핵 찬·반 집회 참가를 비판했지만 인명진 비상대책위원장이 '박 대통령에 대한 (당내) 징계는 없다'며 적극 옹호하는 입장이어서 사실상 당이 탄핵 반대로 기우는 것이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새누리당에서 탄핵 반대 목소리가 높아지자 더불어민주당 등 야당은 탄핵 찬성을 외치며 거리 정치에 나섰다. 민주당은 지난 주말 촛불집회에 지도부와 소속 의원, 대선 주자가 대거 참석했다. 국민의당과 정의당도 지도부를 중심으로 촛불집회에 나와 탄핵 조기 인용을 주장했다. 민주당과 국민의당은 12일에도 대변인 논평을 통해 "조기탄핵을 염원하는 민심이 다시 확인됐다"며 "헌법재판소는 조속히 탄핵을 인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야당은 탄핵기각설이 제기되고 박 대통령 측이 대반전 카드를 쓸 가능성이 있다는 상황인식 속에서 탄핵정국의 동력을 살려 나가는데 전력투구하는 모습이다.

다만 야권 대선 주자 가운데 한 명인 국민의당 안철수 전 대표는 촛불집회에 참석하는 대신 구제역·조류 인플루엔자 재난안전대책본부를 방문해 차별화된 행보를 보였다.

바른정당도 12일 대변인 브리핑을 통해 새누리당과 민주당 소속 일부 의원과 대권 주자들의 태극기·촛불 집회 참여에 대해 "국민을 선동하고 헌재를 협박했다"면서"국론 분열에 책임을 져야 한다"고 비판했다.

김종우 기자 kjongwoo@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