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핵 정국 요동] 촛불 더 밝혀라 vs 태극기 더 휘날려라
헌법재판소의 박근혜 대통령 탄핵결정이 3월로 넘어가고 '탄핵 기각설'까지 흘러나오는 등 기류변화 조짐이 보이자 여야 정치권도 바빠졌다.
탄핵안 인용을 낙관하면서 대권 경쟁에 집중하던 야권은 다시 탄핵으로 시선을 돌리고 있다.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당, 정의당 등 야3당은 9일 헌재의 3월 13일 이전 탄핵 인용 결정과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의 특검 수사기간 연장 등을 거듭 주문했다.
주말 집회 앞 정치권 비상
野, 촛불 집회 대거 동참
與, '태극기 토론회' 개최
민주당 우상호 원내대표는 특검 조사를 거부하는 박 대통령에 대해 "정말 짜증나고 국민들이 분노한다"며 "어떤 형태로도 탄핵을 피할 수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바른정당도 이날 황 권한대행이 특검의 수사기간 연장 요청을 수용하지 않을 경우 특검 기간 연장 법안을 제출하겠다는 입장을 내놨다.
야권 대선주자들도 보수 진영의 탄핵 '뒤집기' 시도 등 최근 기류에 대한 우려를 쏟아냈다. 문재인 민주당 전 대표는 "근래에 와서 탄핵을 낙관할 수만은 없게 된 것 아니냐"며 "우리가 좀 더 긴장 해야겠다"고 말했고, 국민주권개혁회의 손학규 의장은 "정치권 안팎의 탄핵연대 세력이 긴장을 늦추지 말고, 민심을 호도하고 음모를 꾸미는 수구세력의 준동을 막아야 한다"며 단결을 강조했다. 야당 지도부 및 소속 의원들과 대선주자들은 오는 11일 서울 광화문 등 전국에서 열리는 탄핵 촉구 촛불집회에 동참키로 했다.
반면 새누리당은 야당의 탄핵 조기인용 주장을 '선동정치'로 규정하고 헌재를 향한 협박을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정우택 원내대표는 야 3당의 탄핵 조기인용 요구에 대해 "압박을 넘어 협박과 공갈로 볼 수밖에 없다"며 "헌재 독립성과 공정성을 현저히 해칠 수 있는 대단히 중요한 문제"라고 비판했다.
새누리당은 겉으로는 정치권이 헌재의 심리에 개입하면 안된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탄핵심리 연장 또는 탄핵 기각설이 제기되는 최근의 기류를 활용해 보수세력의 결집을 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인적청산 과정에서 숨죽이고 있던 친박(친박근혜)계 인사들도 '태극기 집회'를 고리로 서서히 목소리 내기에 나서고 있다. 당원권이 정지된 친박 핵심 윤상현 의원은 이날 국회에서 보수 성향 인사들이 참석하는 '태극기 민심 토론회'를 개최했다. 토론회에서는 탄핵기각을 촉구하는 동시에 헌재와 특검, 언론 등에 대한 원색적인 비판이 쏟아졌다.
박석호·전창훈 기자 psh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