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쌀 가공식품 프랜차이즈 팍팍 밀어준다
쌀 과잉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정부가 재배면적 축소, 소비권장기한 표시제, 쌀 가공식품 프랜차이즈 지원 등으로 수요와 공급을 맞추겠다고 밝혔다.
농림축산식품부는 9일 '중장기 쌀 수급안정 보완대책'을 확정해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우선 올해 벼 재배면적을 당초에 3만㏊를 줄이려던 것을 3만 5000㏊로 더 확대했다. 이 정도는 부산시 면적의 약 절반에 이르는 크기다. 이를 위해 지자체별로 목표 면적을 할당하고 실적을 채우면 공공비축미 매입과 농산시책 평가에 우수하게 반영하기로 했다.
쌀 과잉 상황 해소책 발표
복지용 쌀 가격 대폭 할인
이와 함께 5㎏ 이하 소포장 쌀 유통을 늘리고 소비자가 더 좋은 쌀을 고를 수 있도록 등급표시제·혼합금지제를 개선할 방침이다.
또 소비권장기한 표시제도 도입하기로 했다. 소비권장기한은 일종의 유통기한을 말한다.
'라이스랩'(Rice Lab)을 통해 쌀 가공식품 프랜차이즈를 지원하며 아침간편식도 업체들이 많이 만들도록 장려하기로 했다. 라이스랩이란 쌀 가공식품을 개발해 소비자 반응을 알아보기 위한 카페 형태의 실험공간을 말한다. 서울 마포에 1호점이 있다.
이 밖에도 복지·가공·사료용 쌀 공급을 늘리기로 했다. 복지용 쌀은 지난해 kg에 810원이었던 것을 올해는 생계·의료급여 대상자에게는 140원, 주거·교육급여·차상위계층에게는 700원 등으로 할인을 확대한다. 축산 사료용으로는 지난해 9만t 공급하던 것을 올해는 47만t까지 늘린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아세안+3 비상 쌀 비축제(APTERR)를 통해 쌀 1000t 정도를 해외에 원조하기로 했다.
김덕준 기자 casiop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