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 대선 열전] 조기 대선 변수
왼쪽으로 눈 돌리기 시작한 50대, '캐스팅보트' 쥔다
헌법재판소가 탄핵 심판 결론을 3월 13일 이전에 내겠다는 방침을 내놓으면서 차기 대통령 선거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탄핵안이 인용될 경우 4월 말 또는 5월 초에 대선이 유력하다.
대선 때까지 남은 기간은 100여 일에 불과하지만 선거 구도와 게임의 룰은 전혀 가늠하기 힘든 상황이어서 나머지 변수들에 따라 대선의 유동성은 어느 때보다 커질 것으로 보인다.
'고3 투표' 선거법 통과되면
야권 후보에게 절대적 유리
개헌 현실화 땐 새 국면 맞아
후보 검증서 돌발 악재 가능성
■세대 변수=20~30대는 진보, 50대 이상은 보수를 지지한다는 기존의 투표 성향이 점차 변하고 있다. 이번 대선은 박근혜 대통령 탄핵 사태에 따라 조기에 실시되는 만큼 젊은 층과 중장년층의 표심이 어떻게 발현될지가 관건이다.
최근의 선거를 되짚어보면 '2030은 야당, 5060은 여당'이라는 세대별 표심에 변화가 생겼다는 분석이 나온다. 젊은 층과 노년층 사이에서 균형추 역할을 하던 40대가 젊은 층으로 쏠렸고, 여권 성향이 강했던 50대의 일부도 야당 쪽에 쏠리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는 것이다. 결국 50대가 이번 대선에서 '캐스팅보트'를 쥘 가능성이 높아진 것이다. 특히 50대는 자녀 교육비 부담 등 경제적 압박과 노후 대비 등 미래에 대해 불안감을 느끼면서 나이가 들면 보수화한다는 일반적 경향성에서 벗어나 변화를 추구하는 진보 성향이 강해진다는 분석도 있다.
또한 올해 60세 이상 유권자는 지난 18대 대선 때보다 200만 명가량 늘어난 1013만 명으로 추산되는데 전체 선거인 4명 중 한 명꼴이다. 과거의 사례대로라면 보수에 유리하다는 전망이 가능하다. 하지만 탄핵정국의 여파에 1970년대 대학을 다녔던 유신반대 세대가 60대에 본격적으로 진입하면서 달라진 투표 성향을 보일 수도 있다는 관측이다.
■선거연령 하향 조정=선거연령을 현행 만 19세에서 18세로 하향 조정하는 것은 공직선거법 개정을 거쳐야 하는 문제여서 쉽게 결론이 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선거 연령이 하향 조정되면 약 62만 명의 젊은 층이 새로 유권자에 편입된다. 선거연령 하향 조정은 야권에 절대적으로 유리하게 작용할 것이라는 데 이견이 없다. 그러나 새누리당과 바른정당이 반대하고 있어 선거법 개정안이 대선 전에 국회를 통과할지는 불투명하다.
■개헌=대세론을 이어가고 있는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전 대표는 부정적이지만 개헌은 여전히 대선판을 흔들 무시 못 할 변수다. 대선 전 개헌이 이뤄진다면 사실상 대선판이 새롭게 짜일 뿐 아니라 차기 대통령의 임기가 3년 남짓으로 단축될 수도 있다. 새누리당·바른정당·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 등 범여권과 국민의당, 민주당 '비(非)문' 진영은 한목소리로 개헌을 주장하고 있어 언제든 폭발할 수 있는 휘발성 강한 변수라고 할 수 있다.
■결선투표 및 합종연횡=결선투표제는 논란의 소지가 있지만 개헌에 관련된 사안이라 실현 가능성이 희박하다는 관측이 많다. 하지만 결선투표제가 도입될 경우 여권이든 야권이든 할 것 없이 인위적인 후보 단일화 없이 자연스럽게 지지층 결집이 가능해 선거 결과에 상당한 파장을 가져올 것으로 보인다. 결선투표가 실시되지 않더라도 후보 간 합종연횡이나 다양한 방식의 정계 개편을 통해 선거 구도가 단순화될 수도 있다. 이럴 경우 대세론을 형성한 문재인 전 대표에 대항한 범야권의 도전 세력이 누가될지 관심이 쏠린다. 또 반기문 전 총장이 어떤 형식으로 여권의 지지세력을 규합할지도 관건이다. 또 제3지대가 형성돼 새로운 정치세력으로 자리매김할 수도 있다.
■후보검증 및 돌발 악재=최근 민주당 표창원 의원의 박 대통령 누드 패러디 그림 사건에서 드러났듯 돌발악재가 선거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크다. 과거에도 선거 기간 터져나온 각종 사건·사고들 때문에 당락이 뒤바뀌는 경우가 많았다는 점에서 각 후보 진영은 최후의 순간까지 긴장을 늦추지 못한다. 대선까지 남은 기간이 100여 일에 불과하지만 제대로 된 후보 검증은 아직 이뤄지지 않았다. 어느 후보든 본격적으로 링 위에 오르면 그동안 가려졌던 과거 행적이나 발언 등이 스스로의 발목을 잡을 수 있는 것이다.
박석호 기자 psh21@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