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대선 주자들 설 밥상머리 민심에 귀 기울여야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대통령 탄핵심판 속에 '벚꽃 대선'이 전망되면서 이번 설 연휴는 대선의 1차 승부처가 될 것이다. 문재인 전 민주당 대표는 대세론을 이어갈 것인가,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은 지지율을 20% 중반대까지 끌어올릴 것인가를 두고 중대 기로에 놓여 있다. 안철수 국민의당 전 대표도 이미 대선 표갈이에 뛰어든 상황 속에서 안희정 충남지사, 이재명 성남시장, 남경필 경기지사, 유승민 바른정당 의원도 잇달아 대선 출사표를 던졌다.

이번 대선의 의미는 무엇보다 크고 엄중하다. '87년 민주화'의 염원을 30년 뒤 촛불 민심으로 다시 피워 올렸기 때문이다. 우리는 이번 대선을 통해 초유의 국정농단을 야기한 낡은 국가 시스템을 청산하고 새로운 국가의 틀을 만들어야 한다. 이번 대선 과정에서 분열과 통합의 과정은 불을 보듯 뻔하다. 하지만 그 과정은 식상한 보수·진보의 갈등, 같은 정파 내의 분열을 넘어 헌법 제1조가 규정한 성숙한 민주공화국을 전망하는 것이어야 한다.

민주공화국의 핵심은 공정한 사회다. 이를 위해 사회·경제적 양극화를 넘어서야 한다. 하지만 한국은 1997년 이후 잘못된 세계화의 덫에 걸려 세계 최악으로 양극화 길을 내달아 왔다. 2014년 기준 상위 10%가 전체 가구 총재산의 62.9%, 총소득의 44.9%를 차지하는 불평등 사회가 됐다. 30대 대기업은 750조 원이 넘는 사내유보금을 쌓아 놓았으나 가계는 1300조 원이 넘는 빚에 짓눌려 있다. 이런 양극화가 450만 명이 넘는 사상 초유의 '사실상 실업자'까지 양산하고 있다. 양극화를 해결하지 않고서 일자리 창출은 헛된 구호다. 저출산과 인구 고령화, 내수 부진과 저성장의 늪도 양극화와 깊이 연결돼 있다. 양극화 해결의 관건인 재벌개혁도 결코 간단한 문제가 아니다.

우리 문제는 이에 그치지 않는다. 미·중·일이 복잡히 얽힌 험난한 외교 안보 지형을 뚫고 나가야 하며, 핵으로 어깃장을 놓는 북한을 상대로 한반도 통일문제를 풀어 나가야 한다. 국가적 과제와 함께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소통과 화합의 리더십이다. 누가 이에 화답할 것인가. 주자들은 새 시대에 걸맞은 식견과 안목을 갖추면서 설 민심에 크게 귀를 기울여야 한다. 어설픈 포퓰리즘을 들이밀지 말고 정치는 생물임을 깊이 명심해야 할 것이다.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