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이재용 특검 소환, 정경유착 근절하는 계기 돼야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삼성전자 이재용 부회장이 12일 피의자 신분으로 결국 특검 포토라인에 섰다. 이 부회장은 '비선 실세' 최순실 일가에 막대한 금액을 지원한 뇌물공여 혐의를 받고 있다. 특검팀은 삼성이 이 부회장의 경영권 승계에 필수였던 삼성물산과 제일모직 합병 성사를 위해 최씨 일가에 수백억 원대 지원을 결정하고 이를 실행에 옮겼다고 의심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는 삼성이 박근혜 대통령의 최측근인 최 씨를 움직여 양사 합병에 필요한 국민연금 지지를 얻으려 했다는 판단에 근거한 것이다.

특검팀은 그간 수사 대상자를 참고인 신분으로 불렀다가 혐의가 뚜렷해지면 피의자로 입건하는 방식을 취해 왔다. 이런 차원에서 볼 때 이 부회장의 피의자 신분 소환은 특검팀 수사가 막바지 국면이라는 관측을 가능하게 한다. 특히 이 부회장에 대한 조사는 그 최종 목적지가 박 대통령의 뇌물 또는 제3자 뇌물죄 혐의 입증이어서 헌법재판소의 탄핵 결정과 직결될 수밖에 없는 대목이다.

이 부회장이 뇌물공여 최종 지시자이자 그에 따른 수혜자인지 아니면 '공갈·강요 피해자'인지는 진행 상황을 더 지켜봐야 할 일이다. 하지만 삼성이 우리나라의 대표 기업이라는 점에서 이 부회장의 특검 소환을 바라보는 국민의 마음은 착잡하다. 아직도 기업 경영이 정경유착이란 비정상적 방법으로 이뤄지고 있다는 사실이 밝혀지고, 최고 경영자가 구속된다면 그 피해가 한 기업의 차원에서 끝나지 않기 때문이다.

지금 비선 실세 뇌물공여 혐의에 대한 특검의 칼날은 삼성에 그치지 않고 SK그룹 등으로도 향하고 있다. 이래서는 4차 산업혁명을 맞아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는 세계 경제에서 한국 기업이 살아남을 수 없다. 따라서 이번 대기업 총수들에 대한 특검 조사는 단기간의 혼란을 각오하고서라도 정경유착을 이 땅에서 근절하는 계기가 돼야 마땅하다. 특검은 이런 대의를 위해 각오를 단단히 다져야 한다. 대기업도 이번 조사에 적극적으로 임해 한국경제의 새로운 버팀목으로 거듭날 수 있어야 한다. 그래야 앞으로 부패 정치세력의 부당한 압박을 당당하게 거절할 수 있다.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