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 클린에너지 부산 원년으로] 2. 무한한 에너지, 태양광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에너지 '블루오션'… 비용 부담·얕은 산업기반이 걸림돌

부산 강서구 신호동 르노삼성차 부산공장의 주차장과 공장 지붕(30만㎡)에 설치된 2만5000㎿ 규모의 태양광발전소. 560억 원을 들여 2013년 6월 완공한 이 태양광발전소는 단일 공장부지로는 세계 최대다. 김경현 기자 view@

태양은 무궁무진하다. 그 한없는 에너지를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지구의 미래가 달렸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태양광 발전은 이미 우리 주변에 바짝 다가와 있다. 전기를 만들어 쓰고, 남는 것은 팔 수도 있다. 에너지 분야의 '블루오션'이다. 하지만 제대로 활용하려면 아직 갈 길이 멀다.

눈·비 올 때를 빼면 하루 평균 3.8시간 태양광 발전이 가능하다. 한국에너지공단 자료를 보면 2015년 부산의 태양광 발전량은 1만 9551toe(석유 1t 연소 때 에너지)다. 사업용이 1만 6282toe(83.3%), 자가용이 3269toe(16.7%)다. 전국 태양광 발전량(84만 9379toe)의 2.3% 수준이다. 전남(25.4%), 전북(18.1%), 경북(10.6%)에 한참 뒤진다.

"5~6년 가동하면 투자금 회수"
투자 불안 줄일 금융지원 필요
산업 기반 없이 너도나도 '시공'


일반가정(4인 가족 기준)에서 하루에 쓰는 전기량은 3㎾ 정도다. 이 용량에 맞춰 태양광 발전을 하려면 800만 원 남짓 든다. 부산시(250만 원)와 에너지관리공단(250만 원) 지원을 받으니, 실제 개인이 부담하는 것은 300만~350만 원 수준이다. 업계에서는 내구연한이 25년 정도 되고, 대략 5~6년 가동을 하면 손익분기점을 지난다고 본다. 아파트 베란다에 설치하는 미니 태양광(250W)은 훨씬 싸다. 50만 원을 시에서 지원받고 나머지 20만~30만 원만 부담하면 된다.

전기사업허가를 받은 태양광 발전사업자도 많다. 전기 판매가 가능한 것은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 제도'(RPS·Renewable Energy Portfolio Standard) 덕분이다. 설비 규모 500㎿ 이상의 발전사업자는 총 발전량 중 일정비율 이상을 신재생에너지전력으로 의무 공급하도록 했다. 이를 위해 해당 발전사가 태양광 발전사업자로부터 공급인증서(REC·Renewable Energy Certificate)를 사는 것이다. 인증서는 에너지공단이 발급해준다. 태양광과 비태양광 시장의 '통합 REC' 제도가 도입돼 수익성 확대 기반도 마련됐다. 태양광 설치업체 썬웨이㈜ 옥성애 대표이사는 "예정가격이 ㎾당 180원(보통 120원)으로 책정되고, 20년 장기구매를 하기 때문에 수익성이 좋아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태양광 발전의 핵심은 모듈이다. 최근 제품들은 25년간 80%의 출력을 보증해 성능에 대해 큰 걱정을 안해도 된다는 게 업계 설명이다.

가장 큰 부담은 비용이다. 금융 지원이 필수적인데, 지금은 '신용대출' 수준에 머물러 있다. 발전시설과 수익금을 담보로 프로젝트 파이낸싱(PF)이 가능한 금융상품이 필요하다. '금융중심지' 부산의 장점을 활용해야 하는 것이다.

중소 시공업체의 난립은 역설적으로 태양광 보급의 걸림돌이다. 태양광 발전사업을 하려면 부산시에 발전사업자 등록을 해야 하고, 거기에 부산시와 에너지관리공단에서 지원하는 사업에 참여하려면 '시공 전문기업'으로 등록해야 한다. 부산시는 공식적으로 부산에 등록한 태양광 발전사업자가 232곳, 시공전문기업은 8곳 정도 된다고 1일 밝혔다.

부산시 송유장 에너지산업과장은 "시 외곽 지역을 중심으로 싼값에 태양광을 설치할 수 있다고 현혹하거나, 시공 후 애프터서비스를 안하는 곳이 있다"고 지적했다.

일부 중국산 제품의 경우 고장이 나 갈등의 요인이 되기도 한다. 또다른 부산시 관계자는 "공공기관에서 시공 보증을 해주는 방안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태양광 활성화를 위해 재개발·재건축 때 태양광 설치를 의무화하고, 마을·커뮤니티 단위의 설치가 활성화해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태양광 설치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을 덜어줄 홍보 전담 기업의 설치 필요성도 제기된다. 부산시 송유장 에너지산업과장은 "집 설계나 재개발·재건축 때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시설을 의무적으로 설치하게 하는 게 바람직하다"며 "부산시건축사회와도 의논을 할 것이다"고 밝혔다.

태양광이 활성화하려면 지역의 산업 기반이 있어야 한다. 태양광 산업은 크게 재료·전지·모듈, 태양광 주변장치(BOS, Balance of System), 시공으로 나뉜다. 아쉽게도 부산에는 거의 시공업체뿐이다. 신라대 손창식 신소재공학부 교수는 "밸류체인을 봤을 때 소재·모듈 등 업스트림(Upstream) 분야의 산업 파급효과가 크다"며 "부산은 상대적으로 높은 지가, 산이 많은 구조 등으로 시공 위주로 짜여져 있다"고 밝혔다.

대안으로 실증단지(Test Bed) 조성 필요성이 제기된다. 부산에는 소규모 산업단지가 많고, 에너지 과소비구조인 만큼 산업단지를 재생할 때 검토할 만하다. 관련 기업의 유치나 육성도 필요하다. 도시재생 설계할 때도 에너지 분산형 모델을 고민해야 한다. 손창식 교수는 "현재 사상 스마트시티를 조성하고 있는데 IoT(사물인터넷) 활용, EMS(생산전담회사) 등 스타트업(start-up) 기업들을 발굴해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기존 업체들도 산업적 발전을 함께 모색해야 한다. 컨설팅, 전기공사(시공), 설계, 제조 등 연관산업들이 있지만 제각각 흩어져 있다. 부산신재생에너지협동조합에 따르면 지난달 현재 부산에는 16개 시공·제조·설계·감리 업체가 회원으로 가입돼 있다. 실제로는 500곳이 넘는 시공업체가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부산시 조직의 보강 필요성도 있다. 현재 산업통상국 에너지산업과 산하에 팀이 1개 있을 뿐이다. 부산신재생에너지협동조합 정종수 이사장은 "인력이 너무 적고 자주 바뀌다 보니 부산시가 태양광 발전을 주도하지 못하고 따라가기 바쁜 상황이다"고 밝혔다.

특별취재팀 msk@busan.com

특별취재팀

사회부 : 김마선·이자영·황석하 기자

경제부 : 김백상 기자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