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 한국 경제 기상도] 국내외 악재에 발목 잡혀 '2%대 저성장의 늪'으로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2017년 새해 한국경제 기상도는 국내외 악재로 한마디로 '잔뜩 흐림'이다.

대외적으로는 트럼프 미국 신행정부의 정책 불확실성과 보호무역주의 확산, 미국발 금리인상 악재, 중국경제 둔화 가능성 등 경기 하방 위험이 곳곳에 널려 있다. 안으로는 청탁금지법(일명 김영란법)과 산업 구조조정, 탄핵정국 등이 단기적으로 경제에 부담스러운 요소다.

우선, 정부와 민간 연구기관들의 전망치를 종합해보면 올해 한국의 경제성장률은 2% 초·중반에 그칠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 경제성장률이 2014년 3.3%에서 2015년 2.6%로 둔화된 후 지난해와 올해까지 3년 연속 '2%대 저성장의 늪'에 빠지는 형국이다.

송현수 기자 songh@busan.com

보호무역주의·中 경제 둔화
김영란법·탄핵 정국…
수출·내수 '동반 침체' 우려

기업들 몸 사려 '투자 위축'
반도체 '맑음' 자동차 '흐림'

증시 지난해보다 나아질 듯
국내 금리, 상승 전망 많아

빚 부담에 부동산 '안갯속'
경기침체로 유통 환경 변화


■재계

재계도 흐리다. 특히 재계가 '최순실 게이트'에 휘말려 줄줄이 조사를 받는 상황이어서 기업들이 몸을 사릴 경우 투자위축과 고용창출 저하 등으로 국내 경기는 더욱 어려워질 전망이다.

산업연구원이 최근 내놓은 '2017년 경제·산업 전망'에 따르면 반도체는 '맑음', 자동차 '흐림', 정보통신(IT)은 '흐린 뒤 맑음'이다.

삼성전자는 올해 반도체 사업 부문에서 18조 원이 넘는 영업이익을 낼 것으로 기대된다. 반면 자동차(완성차+부품) 산업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부진이 예상된다. 주요 수출시장인 신흥시장 경기침체 지속과 미국 금리인상에 따른 미국시장 내 차량 할부판매 비용 증가 등이 주원인이다. 배동진 기자 djbae@

■증시

새해 국내 증시 기상도는 지난해보다는 밝을 것으로 전망됐다.

코스피지수는 올해 상반기까지 완만하게 상승 흐름을 이어가다 3분기에 고점을 기록한 뒤 조정에 들어갈 것이라는 전망이 많았다. 증권사별 평균 예상 밴드는 하단 1890에서 상단 2230까지였으며, 전반적으로 '상고하저(上高下低)'가 될 것으로 전문가들은 예상했다.

전문가들은 새해에 미국과 중국의 재정투자 확대로 원자재 가격이 반등함에 따라 경기민감 업종이 강세를 보이고 금리인상으로 채권 자금이 주식으로 이동하는 현상이 국내 증시에 호재로 작용할 것으로 분석했다. 하지만 미국을 포함한 주요 선진국들의 보호무역주의 강화와 통화정책을 통한 경기부양 축소 등의 요인은 국내 증시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내다봤다.

한편 올해 국내 금리는 상승할 것이라는 전망이 많았다. 이정희 기자 ljnh@

■부동산

지난해 부산의 부동산 시장은 2015년에 이어 뜨거운 열기를 자랑했다. 지난해 전국 단지별 1순위 청약경쟁률 1위는 523.6대 1을 기록한 부산 '명륜자이'였다. 상위 5위 중 4개 단지를 부산에서 차지했다.

하지만 새해 부동산 시장은 공급과잉, 금리인상, 가계부채 등의 변수로 안갯속이다. 게다가 지난해 '11·3 주택시장 안정화 관리방안' 이후에도 일부 분양시장이 여전히 과열돼 추가 규제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올해 전국 아파트 입주물량은 37만 가구로 1999년(36만 9541가구) 이후 최대 수준이다. 부동산114에 따르면 이 중 부산은 1만 9862가구, 울산 9035가구, 경남 3만 9631가구로, 지난해보다 각각 6592가구, 5912가구, 1만 9502가구 늘어날 전망이다.

임병철 부동산114 책임연구원은 "공급과잉은 입주물량 증가, 아파트 전셋값 하락, 역전세난, 급매물 증가, 아파트 매매가 하락 등의 순서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며 "여기에 금리인상, 부동산 규제강화 등 다른 변수가 추가되면 부동산시장은 더 위축될 수 있다"고 진단했다. 박지훈 기자 lionking@

■유통

경기침체로 지난해 직격탄을 맞은 유통업계는 올해도 전망이 어둡다. 특히 김영란법이 지난해 하반기 시행됨에 따라 올 설 명절부터는 선물가격 등의 제한으로 국내 농수축산업계의 위축은 불가피하다. 박리다매 중심의 인터넷 쇼핑 발달, 해외 직접구매의 활성화, 집·결혼·자녀 등 모든 것을 포기한다는 N포 세대의 증가와 출산율 하락 등도 유통업계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밖에 없다.

일각에서는 유통업자 중심의 시스템이 개선될 기회라는 의견이 나온다. 유통업계의 한 관계자는 "인터넷, 모바일을 통한 소비가 계속 늘어날 경우 불필요한 유통비용을 줄여 생산자와 소비자가 모두 이득을 볼 수 있다"며 "국내 유통환경의 변화가 한층 가속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황상욱 기자 eyes@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