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순실 특검 정국] 특검 후보 누가 거론되나?
야권 성향 판사냐, 호남 출신 검사냐 '갑론을박'
'최순실 게이트'의 진상 규명을 위한 특별검사법이 22일 국무회의를 통과함에 따라 야당이 특검 후보 찾기에 속도를 내고 있다.
특검법에 따르면 대통령이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당에 후보자 추천을 의뢰하면, 두 당은 5일 이내 2명의 후보자를 대통령에게 추천해야 한다. 민주당과 국민의당은 청와대의 '중립적 특검' 발언을 경계하면서 국민적 의혹을 풀어줄 특검 후보를 찾는 데 당력을 집중하고 있다.
야당, 후보 찾기에 당력 집중
진보 성향·호남 출신 거론
선정 원칙·기준 등 합의 필요
특검보·파견검사도 찾아야
■야권, 진보성향 판사 등 검토
민주당 우상호 원내대표는 22일 "야당 간의 협의를 통해서 제대로 된 수사지휘를 할 수 있는 특검 선정 작업부터 들어가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우 원내대표는 특히 "검찰조사에서 미진한 부분들과 더 확대해서 수사해야 될 부분에 대해서 성역 없이 수사할 수 있는 분을 특검으로 선정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민주당은 검찰이 최순실 씨 등에 대해 형량이 무거운 뇌물죄를 적용하지 않은 것은 '재벌 봐주기'라고 주장하고 있다.
이에 따라 민주당에서는 정경유착 혐의 입증에 중점을 두고 수사를 할 수 있는 특검후보를 찾는 분위기다.
국민의당은 특정 혐의 입증보다는 신뢰도를 강조하고 있다. 국민의당 김관영 원내 수석부대표는 기자들과 만나 "특검의 덕목은 강직함과 열정, 그리고 국민적 신뢰도"라고 말했다.
양당에서 언급되는 특검 후보로는 진보성향 법관모임인 '우리법연구회' 출신 박시환 전 대법관과 구의역 사고 진상규명위원장을 맡았던 김지형 전 대법관, 야권 성향 인사로 알려진 이홍훈 전 대법관, 김상준 전 서울고법 부장판사, 이광범 전 서울고법 부장판사 등이 있다. 국민의당에서는 특히 문성우·명동성·소병철·박영관 변호사 등 호남 출신 전직 검사장들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검 선정 기준 등 합의 필요